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고승범 금융위원장은 10년 후 우리의 금융산업이 현재와 완전히 다른 모습을 띌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고 위원장은 30일 경제‧금융 연구기관장들과 진행한 온라인 간담회에서 2022년도 금융시장 전망 및 금융정책 과제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이날 간담회에는 ▲박종규 금융연구원장 ▲신진영 자본시장연구원장 ▲안철경 보험연구원장 ▲조봉현 IBK경제연구소장 ▲조영서 KB경영연구소장 ▲정중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장 등이 참여했습니다.
간담회 자리에서 고 위원장은 코로나19 이후 경제회복에 대해 높게 평가했습니다. 그는 “지난 2년 간 전례 없는 경제충격에도 국민들의 자발적 방역과 백신 접종 참여, 과감한 재정·금융정책 추진 등의 결과 금융시스템이 빠르게 회복됐다”며 “자영업자·중소기업의 유동성 애로도 상당 부분 완화됐으며 기업들의 연쇄도산이나 고용불안 없이 역성장 폭을 최소화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러한 회복과정이 코로나19 발생 이전으로의 단순 회귀를 의미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며 “우리의 대처방식과 준비상황에 따라 우리 경제와 금융산업의 10년 후 모습은 완전히 달라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연구기관장들은 간담회에서 ▲코로나19 정상화 과정에서 금융안정 ▲포용금융 확대 ▲디지털 혁신에 따른 금융산업 발전 ▲적극적인 실물지원을 통한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제안했습니다.
박종규 금융연구원장은 ‘금융안정이 기반된 금융발전’의 중요성을 언급했습니다. 그는 “2022년에도 국내외 금리인상 등의 여건을 감안할 때 금융불균형 완화를 위해 사전점검과 제도적 준비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빅테크의 금융진출에 직면해 금융산업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규제차익 해소와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며 “하지만 그 과정에서 혁신이 저해되지 않도록 당국의 균형있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최근 주목도가 높아진 코인‧NFT 등 블록체인 가상자산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이야기도 나왔습니다. 신진영 자본시장연구원장은 블록체인 가상자산의 소비자 보호를 언급했습니다.
그는 “코인·NFT 등 블록체인 기반 가상자산 관련 시장 확대와 디지털 전환·비대면 금융거래 확산에 따른 소비자 보호 체계 정비가 필요하다”며 “자본시장이 국민의 재산형성에 기여하기 위해 퇴직연금과 개인연금이 노후 현금흐름 확보 수단이 되도록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안철경 보험연구원장은 2023년부터 새롭게 적용되는 국제회계기준(IFRS17)과 이에 맞춰 도입할 신지급여력제도(K-ICS)의 제도 정비를 강조했습니다. 안 연구원장은 특히 보험사의 안정적 수익 창출과 체질개선을 위해 정책적 지원이 병행되야 한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
기업 경제연구소장들은 탄소중립 정책기조에 따른 지원책과 핀테크기업 금융업 진출 대비책을 요청했습니다.
조영서 KB경영연구소장은 “전세계적인 녹색전환과 탄소중립에 발맞춰 금융의 역할이 강화돼야 한다”며 “녹색금융에 대한 사회적 신뢰를 높이고 금융회사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유인책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정중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장은 핀테크의 금융업 진출 확대에 대비해 “금융업 인·허가 제도를 보완해 생산적 경쟁과 혁신을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고 위원장은 연구소장들의 제안에 대해 “후속 실무회의에 논의 내용을 반영해 2022년도 금융정책을 구체화하겠다”며 “앞으로도 금융위가 현실을 정확히 인식하고 올바른 정책방향을 수립하면서 정책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조언을 부탁드린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