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수출액 사상 최대실적 경신은 수출입 물류난, 변이 바이러스 지속, 공급망 차질 등 여러 난관을 극복하고 민·관이 함께 이뤄낸 값진 성과다."
한국의 연간 수출액이 13일 기점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13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관세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36분 기준으로 올해 연간 수출액이 기존 최대실적인 2018년의 6049억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우리나라의 수출액은 1964년 첫 수출 1억 달러를 돌파한 이후 1977년 100억 달러, 1995년 1000억 달러, 2018년 6000억 달러를 각각 넘어섰습니다. 무역통계를 작성한 1956년 이래 66년의 한국 수출 기록의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
산업부는 올해 총 연간 수출액은 6400억 달러를 넘길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산업부는 올해 역대 최대의 수출실적의 원동력으로▲ 주력 수출산업의 주도적 역할 ▲신(新) 수출 품목의 약진 ▲ 수출 품목 고부가가치화 등을 꼽았습니다.
우선 코로나19 상황에서도 반도체·조선·자동차 등 주력 산업이 국내 생산 차질 최소화를 바탕으로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켜 견조한 성장세를 나타냈습니다.
반도체는 올해 1∼9월 기준으로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점유율 1위(58.9%)를 유지했고, 자동차는 국제무역센터(ITC) 통계상 국가별 누적 수출액 기준으로 327억 달러를 기록해 5대 수출국 자리를 수성했습니다.
조선은 올해 1∼11월 기준으로 전 세계 액화천연가스(LNG)선과 친환경 선박에 대한 수주량이 모두 1위를 차지했으며, 전기차 배터리는 우리 기업들이 모두 전년 동기대비 2배 이상 성장하면서 중국에 이어 국가별 세계시장 점유율 2위를 지켰습니다.
한국의 전통 수출 주력산업 외에 바이오·농수산·화장품 등 신수출 유망 품목들도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시스템 반도체·친환경차·바이오헬스·이차전지·OLED·농수산식품·화장품 등은 모두 2018년을 넘어 최대 수출 규모로 성장했다.
특히 바이오·이차전지·농수산식품·화장품 등 4개 품목의 수출이 2018년 대비 123억 달러 늘어 전체 수출 증가분의 45%를 차지해 수출 최대실적 달성에 작지 않은 역할을 했습니다.
수출 품목의 고부가가치화가 이뤄진 점도 사상 최고 수출액 경신에 밑거름이 됐습니다. 올해 수출단가는 2018년 대비 12.6% 증가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선박·전기차·OLED 등 분야에서 고부가가치 제품의 비중이 커진 덕분입니다.
수출 단가 상승과 맞물려 세계경기 회복에 따른 주요국의 수요 증가 등으로 수출 물량 역시 증가세로 전환해 수출액 증가에 도움이 됐습니다.
정부는 내년에도 글로벌 교역 및 수요 증가와 실물경제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수출 증가 흐름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다만 코로나19 변이 확산, 공급망 불안정성, 중국 성장둔화 가능성 등은 위험요인으로 꼽혔습니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수출액 사상 최대실적 경신은 수출입 물류난, 변이 바이러스 지속, 공급망 차질 등 여러 난관을 극복하고 민·관이 함께 이뤄낸 값진 성과"라며 "내년 수출도 증가세를 이어가도록 수출입 현장의 어려움 해소, 중소기업 수출역량 강화, 미래 무역기반 확충 등에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South Korea, hit by three beats, breaks record of export value of $6049 billion on the 13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