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합정역, 당산역 등 4개 역이 서울시 ‘역세권 활성화사업’ 신규 대상지로 선정됐습니다. 서울시는 해당 역세권을 복합개발해 주택공급과 지역 균형발전을 모색한다는 계획입니다.
14일 서울시에 따르면, 역세권 활성화사업 신규 지역으로 마포구 합정역, 영등포구 당산역, 동작구 이수역, 강남구 논현역 등 4곳이 낙점됐습니다.
역세권 활성화사업은 역세권 토지 용도지역을 상업지역으로 전환해 용적률을 향상하고 증가한 용적률의 50%를 지역에 필요한 생활서비스시설·공공임대시설로 확충하고자 서울시가 지난 2019년부터 마련했습니다.
이번 신규 역세권 선정에 따라 서울시 역세권 활성화사업 대상 역은 총 20곳으로 늘게 됐습니다. 서울시는 선정된 신규 역세권 또한 기존과 마찬가지로 지역 특성에 맞춘 시설과 주택을 공급한다는 방침입니다.
우선, 합정역 주변 부지면적 2335㎡에는 민간기업 입주를 위한 업무시설을 확충할 예정입니다. 용산, 을지로, 공덕 등 주요 업무지역을 다니는 지하철 2호선과 6호선을 환승할 수 있는 곳이라는 점을 고려했습니다. 또, 청년창업지원시설을 조성해 입주기업과 네트워킹할 수 있는 체계를 조성한다는 계획입니다.
지하철 2호선과 9호선이 교차하는 당산역은 주변 부지 3299㎡에 도심형 주거공간을 제공할 계획이며 공유오피스, 도서관 등 지역 필요시설을 확충할 예정입니다. 여의도, 영등포 등 주요 도심과 인접한 지역이라는 점, 서북부 광역버스가 대거 다닌다는 점 등을 다방면으로 고려했습니다.
이수역은 주변 부지 2560㎡를 이용해 청년·신혼부부 등의 안정적인 주거를 위한 소형주택을 공급합니다. 지하철 4호선과 7호선이 교차해 직장인 등 유동층이 많은 역세권이라는 점을 감안했습니다. 또, 인접 대학과 연계해 창업지원시설을 조성하고 공영주차장도 지을 예정입니다.
논현역의 경우 가구거리가 인접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역세권 주변 부지 2307㎡에 가구·인테리어 특화산업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공공시설을 조성합니다.특화산업 도서관과 휴게공간도 들어섭니다.
민간 사업주체가 제시한 계획안에 따르면, 4개 역세권에는 총 618세대의 신규주택이 공급될 예정입니다. 용적률 상향을 통한 공공기여분으로 3~4인 가구 등 다양한 주거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장기전세주택 100세대도 공급합니다.
최진석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역세권 활성화사업을 통해 역세권에 각종 생활 인프라가 확충되면서 시민들이 실질적 변화를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며 “주택공급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상대적으로 저개발된 지역의 상업지역 지정을 통해 지역균형발전 효과도 거둘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