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올해 가구의 부동산 등 실물자산 가치가 14.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빚투(빚내서 투자)’ 등으로 담보·신용대출이 증가하고, 특히 30대의 금융부채가 급증한 영향이라는 분석입니다.
16일 금융감독원과 통계청·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전국 가구의 평균 자산은 5억 253만 원, 부채는 8801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각각 12.8%, 6.6% 증가한 수치입니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4억 1452만 원으로 전년 대비 14.2% 늘었습니다.
세부항목별로 살펴보면 자산 중 금융자산은 1억 1319만 원(22.5%), 실물자산은 3억 8934만 원(77.5%)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에 비해 금융자산은 7.8%, 실물자산은 14.4% 증가했습니다. 금감원은 실물자산 증가를 부동산 중 거주 주택이 증가한 영향으로 설명했습니다.

부채는 금융부채 6518만 원(74.1%)과 임대보증금 2283만 원(25.9%)으로 구성됐습니다. 금융부채는 전년보다 7.7% 늘었고 임대보증금은 3.5% 증가했습니다. 구간별 부채 보유액은 1000만 이상 3000만 원 미만 부채를 진 가구가 16.7%로 가장 높았고, 부채금액이 3억 원 이상인 가구는 11.4%였습니다.
가구주 연령대별 평균 부채는 40대가 1억 2208만 원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밖에 50대는 1억 74만 원, 39세 이하는 9986만 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에 비해 39세 이하의 평균부채 증가율은 9.5%로 연령대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30대의 평균 금융부채는 9404만 원으로 전년에 비해 14.1% 증가했습니다. 금감원은 이러한 금융부채 증가는 주로 부동산 등 실물자산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가구주 연령대별 자산 보유액은 39대 이하에서 3억 5625만 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11.9% 증가했습니다. 이 중 30대의 자산(4억 17만 원)은 증가율이 12.8%에 달했습니다.
금융당국은 30대 자산 증가의 주요 원인을 ‘빚투’로 해석했습니다. 같은 기간 30대의 부채 보유액은 1억 1190만 원으로 지난해보다 11.0% 증가했습니다. 30대를 포함한 39세 이하의 부채 중 금융부채 비중은 84.7%로 모든 연령대 중 가장 높았습니다.
임경은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39세 이하의 부채 증가율이 높은 것은 금융부채가 굉장히 크게 증가했기 때문에 그로 인한 증가세가 대폭 반영됐다고 볼 수 있다”며 “금융부채 증가는 담보나 신용대출이 전반적으로 증가했는데, 39세 이하의 전·월세 보증금 보유비율이 증가하고 전·월세 보증금이 증가하는 폭이 컸던 영향으로 확인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외에 지난해 기준 가구당 평균소득은 6125만 원, 경상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5003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보다 평균 소득과 처분가능소득은 각각 3.4%, 3.8% 증가했습니다. 가구소득 중 근로소득은 3855만 원으로 전년 대비 1.7% 늘었지만, 사업소득은 1135만 원으로 같은기간 1.4% 줄었습니다.
가구소득 중 근로소득 비중은 62.9%로 전년 대비 1.1%p 감소했고, 공적이전소득의 비중은 9.8%로 2.1%p 증가했습니다. 특히 재난지원금 등을 포함한 공적이전소득은 전년 대비 31.7% 급증한 602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의 여파에도 3대 소득분배지표인 ▲5분위 배율 ▲지니계수 ▲상대적 빈곤율 등은 모두 개선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소득분배지표에서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처분가능소득/가구원 수의 제곱근) 기준 지니계수는 0.331로 0.008 감소했습니다, 5분위 배율은 5.85배로 0.40배p 축소됐습니다. 상대적 빈곤율은 15.3%로 1.0%p 하락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