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코로나19로 인한 세계 증시 불안에 2021년 3분기 파생결합증권 신규발행액이 전분기 대비 대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융감독원은 ‘2021년 3분기 중 증권회사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 현황’을 발표하고 지난해 3분기 파생결합증권의 발행액이 14조 6000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3일 밝혔습니다. 이는 전분기(21조 원) 대비 6조 4000억 원(30.4%) 감소한 수치로 코로나19 확산 직후인 지난 2020년 2분기의 15조 8000억 원보다도 적습니다. 같은 기간 발행 잔액은 80조 원을 밑돌며 2013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작년 3분기 주가연계증권(ELS) 발행액은 전분기(16조 8000억 원) 대비 5조 2000억 원(30.8%) 감소한 11조 6000억 원이며 같은 기간 파생결합증권(DLS) 발행액은 전분기(4조 2000억 원)보다 1조 2000억 원(27.7%) 줄어든 3조 원을 기록했습니다.
금감원 관계자는 “ELS 발행액 감소는 헝다그룹의 디폴트 등으로 3·4분기 홍콩 항셍지수(HSI)와 항셍중국기업지수(HSCEI)가 각각 14.8%, 18.2% 하락한 영향”이라며 DLS 발행액 감소에 대해서는 “DLS 투자수익률이 2.2%에서 0.2%로 2%p 하락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수형 ELS 기초자산별 발행 규모는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유럽 유로스톡스(EuroStoxx)50 ▲중국 홍콩H지수 ▲코스피200 순입니다. 금감원에 따르면 코스피200은 상대적으로 낮은 변동성과 주가 약세로 인해 발행액과 비중이 2021년 매분기마다 감소했습니다.
ELS 상환액은 11조 5000억 원으로 직전 분기 대비 7조 3000억 원(38.8%) 감소했습니다. 특히 조기상환액 가운데 HSCEI 편입 ELS 비중이 7.4%로 직전 분기(47.0%)보다 39.6%p 낮아졌습니다.
발행 잔액은 작년 9월말 기준 53조 원으로 집계되며 직전 분기(53조 3000억 원)에 비해 3000억 원(0.6%) 줄어들었습니다.
지난해 3분기 DLS는 직전 분기 대비 모든 기초자산별 발행액이 감소한 가운데 금리 DLS가 1조 6000억 원으로 감소폭(7000억 원)이 가장 컸습니다.
상환액은 3조 1000억 원으로, 직전 분기(4조 1000억 원) 대비 1조 원(25.3%) 감소했다.
DLS 발행 잔액은 26조 9000억 원으로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이며 이 가운데 원금보장형·사모 발행잔액과 비중이 직전 분기 대비 7000억 원(2.6%p) 증가했습니다.
또 파생결합증권 발행자금 운용자산(헤지자산) 평가 금액은 85조 5000억 원·부채평가액은 78조 6000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운용자산 중에는 채권이 68조 7000억 원으로 80.3%를 차지했습니다.
파생결합증권 손익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해 3분기 ELS 연 평균 투자수익률은 3.8%로 전분기(3.4%) 대비 0.4%p 증가했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DLS 수익률은 -2.2%로 전분기의 -0.2%에 비해 2.0%p 내렸습니다.
금감원 관계자는 “해당 분기 상환된 ELS 평균 투자기간이 전분기 대비 감소하면서 연평균 수익률이 증가했고, DLS의 경우 조기상환 금액 감소로 투자이익이 급감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금감원 관계자는 “HSCEI가 연중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지만 투자자 손실 가능성은 크지 않은 편”이라며 “향후 지수 하락 추세가 장기화되면 조기 상환 지역과 만기 상환 손실 가능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지난해 하반기 들어 글로벌 증시 조정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증시 하락으로 인한 리스크가 커지는 양상”이라며 “ELS 발행사의 잠재 리스크와 투자자 손실 가능성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