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롯데마트가 창고형 할인점 브랜드를 새단장하며 사업 재정비에 나섭니다.
롯데마트는 기존 ‘빅(VIC)마켓’이라는 이름 대신 ‘새로운 상품으로 최대치의 고객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의미를 담아 ‘롯데마트 맥스(Maxx)’라는 이름을 선정했다고 18일 밝혔습니다.
오는 19일 맥스 송천점(전주) 오픈을 시작으로 21일 상무점(광주), 27일에는 목포점을 엽니다. 3월에 오픈하는 창원중앙점까지 합하면 올해 1분기에만 4개의 맥스 매장을 열게 됩니다. 기존 2개 매장(영등포점·금천점)도 3월까지 이름을 맥스로 교체합니다.
롯데마트 맥스는 현재 창고형 할인점이 자리하지 않은 호남 지역과 창원 중심으로 선보일 예정이며, 이후 격전지인 수도권에도 맥스 매장을 늘려 나갑니다.
먼저 롯데마트 맥스는 현재 35% 수준인 단독 상품 구성비를 향후 50% 이상까지 확대합니다. 대표 품목으로 프랑스 대표 냉동식품 브랜드 ‘티리에’의 알래스카 대구 튀김, 구운 가지 등 12개의 다양한 디저트와 요리가 있습니다. 독일 DM사의 화장품 ‘발레아’도 판매합니다.
직영 빵집 1호점 ‘풍미소’와 피자 ‘치즈앤도우’도 시그니처 상품으로 성장시킬 계획입니다. 또 30~40대 고객들이 선호하는 브랜드를 중심으로 하이엔드 명품 브랜드, 컨템포러리 브랜드 등 최신 상품을 선보입니다. ‘휘슬러’, ‘WMF’ 같은 유명 쿠킹웨어부터 유럽산 도자기 등도 소개합니다.
맥스는 창고형 할인점의 고정관념을 탈피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웠습니다. 회사 측은 상품 도입 협의 때부터 무조건적인 대용량 상품으로의 구성은 피하고, 3-4인 가족 중심의 용량으로 구성하는 등 최적화된 용량과 가격을 제안한다는 설명입니다.
수입육, 양념 소불고기의 경우 과도한 양으로 인한 구매 부담을 해소하고자 포장된 양을 타 창고형 할인점의 70% 수준으로 낮췄습니다. 평균 가격대를 팩당 4~5만원 이내로 맞춰 구매 편의를 높였습니다.
최고 경쟁력으로는 축산 매장을 강조했습니다. 품질 상위 3%의 미국산 프라임 등급 소고기와 호주산 곡물비육 소고기에 주력했습니다. 국내산 동물복지 돼지고기와 케이지프리(방사사육) 계란을 판매하고, 닭고기 냉장육의 전체 상품을 동물복지 인증상품으로 구성했습니다.
아울러 전문점과 연계한 카테고리 킬러 매장도 함께 오픈하며 ‘원스톱 쇼핑’ 수요 흡수에 나섭니다. 직간접비 최소화를 위해 상품 가짓수가 3000개 수준인 기존 창고형 할인점의 한계를 넘어서겠다는 목표입니다. 특히 매출 구성비 중 60%를 차지하는 30~40대를 주 고객층으로 설정했습니다.
맥스 상무점에는 4월까지 300평 규모의 와인을 취급하는 와인 전문점 ‘보틀벙커’가 문을 엽니다. 이 밖에도 하이마트와 한샘의 콜라보를 통해 가전과 가구를 함께 구매할 수 있는 매장도 공개할 예정입니다.
강성현 롯데마트 대표는 “맥스는 30-40대 젊은 고객을 주요 타깃으로 새로운 경험과 가치 소비를 선호하는 라이프 스타일에 맞춰 상품을 구성했다”며 “누구나 방문할 수 있는 창고형 할인점으로서 지역의 명소가 될 수 있도록 가성비에 가치를 더한 상품 제안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