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서울 아파트 가격 하향세가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용산구, 강남구 아파트 가격이 각각 20개월, 15개월 만에 떨어지는 등 25개 자치구 중 22곳에서 하락률을 나타내며 내림폭이 확대됐습니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의 ‘2월 2주(2월 1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지난 주보다 0.01%가 둔화된 -0.02%의 하락률로 집계되며 4주 연속 가격이 내려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도와 인천도 각각 -0.02%, -0.01%의 하락률로 3주 연속 아파트 가격이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상승 지역은 지난 주 65개에서 67개로, 보합 지역은 27개에서 15개로 감소했습니다. 하락 지역은 84개에서 94개로 증가했습니다.
서울은 25개 자치구 중 24개 자치구에서 아파트 가격이 떨어지거나 유지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유일한 상승 자치구인 중랑구의 경우 일부 중저가 단지의 상승에 힘입어 보합에 가까운 0.01%의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용산구와 강남구의 경우 매수세 위축 및 관망세가 확대되며 1년 8개월, 1년 3개월 만에 아파트 값이 하락했습니다. 특히, 강남구의 경우 중소형 단지 위주로 아파트 매매가가 하락하고 거래활동이 위축되며 하락률로 접어들게 됐습니다.
서대문구와 성북구의 경우 아파트 단지가 집중돼 있는 홍제동, 길음뉴타운을 중심으로 가격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며 서울 내에서 가장 큰 폭의 하락세(-0.08%)를 나타내며 아파트 값 하락을 주도했습니다.

경기도는 화성(-0.08%), 하남(-0.06%), 부천, 시흥, 군포(이하 -0.05%) 등에서 두드러진 하락률을 나타내며 도의 하락세를 이끈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화성, 하남은 각각 10주, 7주 연속 아파트 가격이 내려가게 됐으며, 군포의 경우 상승폭이 컸던 단지 위주로 가격이 떨어지며 2주 만에 다시 하락률로 접어들었습니다.
지방의 경우 세종(-0.13%), 대구(-0.09%), 대전(-0.06%), 울산(-0.02%)이 지난 주에 이어 하락세가 지속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세종시의 경우 신규 입주물량 증가, 거래활동 위축 현상 등이 지속되며 30주 연속 가격이 내려갔으며, 대구는 14주 연속 아파트 값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최근 금리 인상과 더불어 대선을 얼마 안 남은 시점에 수요자들이 집 사기를 머뭇거리는 모습을 보이며 매매가 변동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예상한다”며 “지방권은 입주물량과 더불어 매물적체, 관망세 등이 잦아진 지역에서 하락세가 두드러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