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서울 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와 서울 아파트의 3.3㎡당 평균 시세가 역대 최대 편차를 보였습니다.
24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의 3.3㎡ 당 평균 아파트 분양가는 2798만원, 아파트 시세는 4300만원으로 시세와 비교했을 때 분양가 수준이 1502만원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주택면적이라 할 수 있는 전용 85㎡를 기준으로 예를 들어 시세와 비교했을 경우 분양가 수준이 3억~5억원 저렴한 셈입니다.
전국 또한 3.3㎡ 당 분양가 1313만원, 시세 2233만원으로 920만원의 편차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분양가가 시세보다 싼 곳을 지역별로 볼 경우 서울을 포함해 세종(-892만원), 경기(-643만원), 부산(-182만원), 대전(-158만원), 인천(-86만원) 순으로 조사되며 아파트 공급이 주로 이뤄지는 수도권 모두 시세 대비 낮은 분양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의 경우, 지난 2016년에는 분양가가 시세 대비 3.3㎡ 당 124만원 비쌌으나 2017년부터 전세가 역전되는 동시에 편차액 또한 벌어졌습니다. 연도별 구체적인 편차 액수는 ▲2017년 -117만원 ▲2018년 -40만원 ▲2019년 -543만원 ▲2020년 -1094만원 ▲2021년 -1502만원입니다.
시세에 비해 저렴한 분양가 수준은 청약 경쟁률의 상승으로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지난해 서울은 역대 최고경쟁률인 164대 1을 기록했으며, 타 지역 또한 평균적으로 두 자릿수(10~30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습니다.
부동산 업계는 투기과열지구나 조정대상지역 등 규제지역에서의 분양가 통제 강도가 올라간데다 민간택지에 대한 분양가상한제 도입으로 시세 대비 일정 수준 이하로 분양가를 제한하면서 시세와 분양가 편차가 벌어진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낮은 분양가를 통해 시세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수요를 넘어서는 초과공급이 이어져야 한다”며 “그러나 낮은 분양가 책정으로 인해 도심 내 정비사업이 위축돼 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며 주택 수급에도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올해는 정부와 HUG 등이 분양가 심사 매뉴얼을 주변 현실에 부합하는 형태로 변경했고, 물가상승과 공시가격 인상 등에 따라 분양가 상승 요인도 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청약의 경우 지난해 말 부터 일부 지역은 미달되거나 경쟁률이 낮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무주택 실수요자의 경쟁은 올해도 치열하게 전개될 전망”이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