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olumn 칼럼

[정진영의 안주잡설]평양냉면, 소주와 함께 느닷없이 젖어 드는 그 맛

URL복사

Sunday, June 19, 2022, 11:06:09

 

 

정진영 소설가ㅣ좋아하는 사람은 싫어하는 사람을 이해하지 못하고, 싫어하는 사람은 좋아하는 사람을 이해하지 못하는 음식 중 최고봉은 단연 평양냉면이 아닐까 싶다.

 

짙은 육향과 깊은 감칠맛이 느껴진다는 찬사와 걸레 빤 물처럼 밍밍한 색깔에 비싸다는 비난 사이에 건너기 어려운 강이 흐르게 된 이유 중에는 남성들의 일방적인 가르침을 빗댄 맨스플레인에서 유래한 '면스플레인'이 있다. '빠'가 '까'를 만든다고 하지 않던가. 평양냉면의 대단함에 관해 일장연설을 늘어놓아봤자 사주고도 뒤에서 '꼰대' 소리를 듣기 십상이다.

 

면스플레인의 심정을 모르지는 않는다. 도대체 무슨 맛으로 먹느냐고 투덜대다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새로운 맛의 세계에 눈을 뜬 경험을 했으니 말이다. 이 맛을 모르고 살아간다는 게 몹시 안타까운 거다. 궂은날에도 애타게 거리에서 전도하는 신앙인의 마음처럼. 전략을 바꿔야 한다. 후줄근한 차림으로 느닷없이 다가와 인상이 좋아 보인다며 도를 아느냐고 물어봤자 반감만 살뿐이다. 다들 거리에서 겪어보지 않았는가.

 

내 경험을 비춰 보면, 평양냉면 전도에 가장 좋은 방법은 느닷없이 젖어 들게 하는 거다. 그러려면 입을 닫고 지갑을 열어야 한다. 평양냉면집에 가면 어복쟁반, 불고기, 수육, 제육, 녹두전, 만두 등 냉면을 즐기지 않는 사람도 얼마든지 맛있게 먹을 만한 음식이 있다. 맛있는 음식은 곧 맛있는 안주이기도 하다. 공교롭게도 평양냉면집에서 나오는 음식 모두 소주와 잘 어울린다.

 

테이블 위에 오른 음식을 안주 삼아 소주 몇 잔을 마시다 보면, 자연스럽게 국물로 마실 무언가를 찾게 된다. 그때가 바로 평양냉면을 거부감 없이 맞이할 최적의 타이밍이다. 찬 소주가 혀에 남긴 씁쓸한 맛을 육수로 헹군 뒤 후루룩 면을 빨아들여 씹다 보면, 구수한 향과 담백한 맛이 입안에서 어우러져 처음 먹었을 때보다 짙은 여운이 느껴진다. 혀가 예민해졌다는 신호다. 그때 육수를 한 모금 더 마신다.

 

이게 뭐지? 조금 전에는 잘 느껴지지 않았던 감칠맛이 혀 위에서 폭발한다. 다른 음식이 눈에 들어오지 않고 자꾸 육수가 당긴다. 육수를 마시면 바로 소주가 당기고, 소주를 마시면 다시 육수가 당기는 즐거운 악순환! '면스플레인'을 굳이 할 필요가 없다. 몇 차례 평양냉면집에 더 오면 상대방이 먼저 선주후면(先酒後麵)이라는 말이 왜 나왔는지 알겠다고 고해성사를 할 테니까. 내가 바로 이런 과정을 거쳐 평양냉면과 소주를 사랑하게 됐다.

 

 

지난 2011년 말에 내가 두 번째 신문사로 이직한 직후의 일이다. 편집국장은 점심시간에 나와 동기로 묶인 기자들을 데리고 충무로에 있는 필동면옥으로 향했다. 그곳에 나는 평양냉면과 첫 인연을 맺었다. 냉면이 나오기 전에 제육을 담은 접시가 나왔다. 이곳에서 먹은 제육의 맛은 내 상식에서 벗어나 있었다. 쫀득하면서도 탄탄한 제육의 식감과 새콤하면서도 달달한 양념장의 조화, 여기에 새우젓과 편마늘을 곁들이니 소주 몇 잔이 절로 넘어갔다.

 

이후 전국의 여러 평양냉면집을 돌아다니며 적지 않은 소주병을 비웠지만, 제육만큼은 이곳을 능가하는 집이 없었다. 맛있는 제육을 먹으니 처음 접하는 평양냉면을 향한 기대도 커졌다. 생수처럼 맑은 육수와 그 위에 떠 있는 소량의 고춧가루가 낯설었지만, 이미 제육과 소주로 몸과 마음을 연 나는 평양냉면을 남들보다 수월하게 받아들일 수 있었다. 육수를 모두 비운 그릇이 그 증거였다.

 

그날 테이블에 제육이 없고 달랑 평양냉면뿐이었다면, 내가 과연 평양냉면과 친해질 수 있었을까. 진입장벽이 있는 음식은 그 장벽을 무너뜨릴 계기를 마련해줘야 한다. 나는 운이 좋았다고 생각한다. 그런 경험 때문에 나는 평양냉면을 처음 접하는 사람을 냉면집에 데려가는 일이 생기면 반드시 다른 음식과 소주를 함께 주문해 대접한다. 상대방이 가위로 면을 잘라도, 육수에 식초를 뿌려 먹어도 안타까워하지 않는다. 그저 평소 먹던 대로 먹을 뿐이다. 그런 자리를 통해 상대방이 평양냉면과 인연을 맺으면 좋은 일이고 아니면 마는 거다. 어차피 인연을 맺을 사람은 맺는다.

 

그 어떤 안주보다 소주와 훌륭한 마리아주를 자랑하는 평양냉면이지만, 결정적인 단점이 있다. 바로 집 근처에서 쉽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이 아니라는 점이다. 평양냉면은 유명세에 비해 다루는 음식점의 수가 매우 적은 편이다. 평양냉면은 금단증상이 꽤 심각한 음식인데, 먹고 싶을 때 먹을 수 없다는 건 치명적이다. 금단증상을 견디지 못한 나는 여러 차례 시행착오 끝에 유사 평양냉면 레시피를 만들어냈다. 금단증상을 완벽하게 해결해줄 수는 없어도, 다음 금단증상이 올 때까지 진정제 역할을 충분히 해줄 수 있는 레시피여서 여기에 공유한다.

 

 

대형마트 간편식 코너에 가서 양지육수를 장바구니에 담는다. 평양냉면 육수의 핵심이 소고기 양지 육수라는 점에서 착안했다. 그다음에는 라면 코너로 가서 청수물냉면이 있는지 살핀다. 100% 메밀로 만든 제품의 맛이 가장 좋다. 집으로 돌아와 물병에 양지육수, 청수물냉면에 포함된 육수, 적당량의 물을 함께 넣고 섞는다. 여기에 미원을 살짝 뿌려 감칠맛을 더한다. 이 간단한 레시피만으로도 평양냉면 육수와 꽤 비슷한 맛을 낼 수 있다. 나만큼 평양냉면이라면 사족을 못 쓰는 아내 박준면 배우도 인정한 맛이다. 청수물냉면 포장지에는 면을 4분 동안 익히라고 적혀 있는데 조금 짧다. 5분 30초 정도 익히면 실제 평양냉면과 유사한 식감을 낼 수 있다. 다만 인스턴트 식품이어서 구수한 메밀향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게 아쉽다면 아쉬운 부분이다.

 

삶아낸 면을 그릇에 담은 뒤 육수를 붓고 그 위에 양지육수에 함께 들어있던 고기를 고명으로 올린다. 삶은 달걀이나 파, 오이를 면 위에 올리면 더 그럴싸한 모양이 된다. 먹을 준비가 끝나면 냉장고에서 소주 한 병을 꺼낸다. 빈 속에 소주 한 잔을 마신 뒤 육수를 마셔보자. 말도 안 되게 간단한 과정으로 만든 육수인데도 그 맛이 꽤 괜찮아서 놀라울 테다. 더운 여름에 마땅한 소주 안주가 없을 때 식사를 겸한 안주로도 딱이다. 남은 육수는 하루 이틀 냉장고에 묵혔다가 냉면을 만들 때 사용해보자. 더 맛이 좋아져서 어이가 없다. 이게 뭔가 싶어 어이없었다가 느닷없이 빠져들었던 노포의 평양냉면처럼 말이다.

 

■정진영 필자

 

소설가,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 장편소설 '도화촌기행'으로 조선일보 판타지 문학상을 받으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장편소설 '침묵주의보', '젠가', '다시, 밸런타인데이', '나보다 어렸던 엄마에게'를 썼다. '침묵주의보'는 JTBC 드라마 '허쉬'로 만들어졌으며, '젠가'도 드라마로 만들어질 예정이다. 앨범 '오래된 소품'을 냈다.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공저)이 있다. 백호임제문학상을 받았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편집국 기자 itnno1@inthenews.co.kr

배너

GC 자회사 메이드 사이언티픽, 美 프린스턴에 세포치료제 생산 거점 짓는다

GC 자회사 메이드 사이언티픽, 美 프린스턴에 세포치료제 생산 거점 짓는다

2025.08.20 15:52:00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GC(녹십자홀딩스)의 미국 자회사 메이드 사이언티픽은 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에서 신규 GMP 제조시설과 미국 본사 개소 기념식을 열었다고 20일 밝혔습니다. 이번 시설은 연면적 6만 제곱피트(약 5570㎡) 규모로 조성됐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뉴저지주 노동청장, 주 하원의원, 지방 정부 인사 등 미국 연방·주·지방 정부 관계자와 허일섭 GC 회장, 허용준 GC 대표 등 GC 경영진이 참석했습니다. 미 연방 의원단은 기념 선언문을 전달하며 개소를 축하했습니다. 메이드 사이언티픽은 2022년 GC와 GC셀이 공동 인수한 세포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으로, 글로벌 상업화 지원 역량 강화를 목표로 지속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는 회사인데요. 이 회사는 1200만 달러 규모 1단계 투자를 통해 시설 업그레이드, 첨단 장비 도입, 업무 시스템 디지털화를 진행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임상부터 상업화까지 전 주기 세포치료제 생산 역량을 갖췄으며, 2단계 확장 시 연간 최대 2000배치를 추가로 생산할 수 있습니다. 프린스턴 시설에는 ISO 7 등급 클린룸 5개, 품질관리 실험실, 공정·분석 개발 기능이 포함됐습니다. ERP, QMS, MES, LIMS 등 글로벌 디지털 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개발부터 제조, 품질관리까지 전 과정을 실시간 통합 관리합니다. 이날 행사에서는 FDA 및 유럽 기준을 충족하는 추가 GMP 클린룸 확장 계획도 발표됐습니다. 고속 자동화 기술이 적용된 확장 시설이 완공되면 프린스턴 본사는 세포치료제 임상·상업 생산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잡게 됩니다. 필 머피 뉴저지 주지사는 “이번 시설은 지역 일자리를 창출하고 차세대 세포치료제를 공급하는 동시에 뉴저지 혁신경제 성장을 가속화할 것”이라며 적극 지원 의지를 피력했습니다.. 사이드 T. 후세인 메이드 사이언티픽 대표는 “이 시설은 임상부터 상업화까지 한곳에서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와 세계적 생산 역량을 제공한다”며 “파트너들의 혁신 치료제 상업화를 뒷받침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