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한번에 0.5%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하며 서울 아파트 가격 낙폭이 커지고 있습니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23개 구에서 아파트 가격이 떨어진 가운데 '노·도·강(노원구, 도봉구, 강북구)'으로 대표되는 '강북 3구'의 하락폭은 전 주보다 확대되며 서울서 가장 큰 내림세를 나타냈습니다.
21일 한국부동산원의 2022년 7월 셋째 주(7월 18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가격 변동률은 -0.05%로 나타나며 지난 주 보다 0.01% 내림폭이 심화됐습니다. 인천과 경기 또한 모두 전주 대비 0.01% 하락폭이 확대되며 -0.08%, -0.06%의 하락률을 기록했습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상승 지역은 지난 주 43개에서 35개로, 보합 지역은 16개에서 14개로 감소했습니다. 하락 지역은 지난 주 117개에서 128개로 증가했습니다.
서울의 경우 도봉구(-0.14%), 노원구, 강북구(이상 -0.13%)에서 큰 폭의 하락률을 나타냈습니다. 노도강의 하락률은 지난 주에 이어 서울 자치구 중 2주 연속 최대 내림폭입니다. 이 외에 서울 동북권역에 위치한 성북구(-0.12%) 또한 전 주 대비 0.05% 하락폭이 심화됐습니다.
도봉구의 경우 일부 구축아파트를 중심으로 가격이 내림세를 나타냈으며, 노원구의 경우 주공아파트가 밀집해 있는 상계동 내 대단지 중소형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이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강북구는 미아뉴타운 등에서 매물 적체현상 및 하락거래 등이 발생하며 지역의 하락세를 이끌었습니다.
서울 자치구 내 유일한 상승세를 기록한 서초구(0.03%)의 경우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노후 단지와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주 하락률로 전환한 용산구(-0.02%)의 경우 관망세가 이어지며 하락 폭이 전 주 대비 0.01% 늘었으며 동작구는 하락률에서 보합으로 전환했습니다.

경기도는 가장 큰 폭으로 하락률을 나타낸 광주시(-0.24%)를 비롯해 의왕시(-0.19%), 화성시(-0.17%), 오산시(-0.16%), 광명시(-0.13%) 등 대부분 지역에서 하락세를 나타내며 경기 전 권역의 하락률을 이끈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비규제지역인 이천시(0.18%), 여주시(0.14%)의 경우 직주 근접 단지 및 정주여건이 양호한 곳을 중심으로 가격이 오르며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인천의 경우 서구(-0.13%)를 비롯해 남동구(-0.10%), 연수구(-0.09%), 동구, 계양구(이상 -0.07%) 등 전 자치구에서 아파트 값이 떨어졌습니다. 전체적으로 매수심리가 위축되는 현상 속에 신규 입주물량 영향까지 겹치며 전 지역에서 아파트 값이 내림세를 나타냈습니다.
지방 또한 지난 주 보다 하락폭이 0.01% 확대된 -0.03%의 하락률을 나타냈습니다. 수도권과 지방에서 아파트 값 내림폭이 늘며 전국 아파트 가격 변동률 또한 전 주 대비 0.01% 심화된 -0.04%의 하락률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지방권의 경우 세종(-0.21%)과 대구(-0.13%), 대전(-0.07%), 전남(-0.05%)이 각각 52주, 36주, 29주, 22주 연속 아파트 값 내림세를 나타내며 지방권의 하락을 이끌었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측은 "서울권의 경우 기준금리 빅스텝이 단행된 데다 대출금리 추가 인상까지 예상되는 상황 속에 매수 수요 감소가 일어나며 매물 적체가 지속되는 등 시장의 하방 압력이 커지며 하락폭이 심화됐다"며 "지방권의 경우 신규 입주물량이 늘고 매물 적체 영향이 지속되는 곳을 중심으로 하락폭이 확대된 모습"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