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서울 내 아파트 '거래절벽' 현상이 심화되는 가운데 기존 매매가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되는 하락거래 비중이 상승거래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은 단지별 동일면적 직전 거래가격 대비 상승거래와 하락거래의 10년 간 추이를 조사한 결과를 22일 발표했습니다. 통계 자료는 거래건 별로 거래가격의 오차범위 1% 이상일 시 상승거래로, 1% 미만일 시 하락거래로, 1% 범위 내일 시 '보합'으로 분류해 내놓았습니다.
결과에 따르면, 올해 3분기 현 시점까지 서울 내 상승거래는 2604건, 하락거래는 2722건으로 집계되며 하락거래가 상승거래를 앞선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전국으로 통틀어 봤을 때도 상승거래 7만4842건, 하락거래 7만4230건으로 엇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변동률의 경우 올해 1~2분기에는 전국과 서울 모두 1% 오차범위를 넘어서는 하락거래의 비율이 40%를 초과해 지난 2019년 1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이와 함께, 올해 3분기 전국과 서울의 하락거래 비율은 각각 48.6%, 54.7%를 기록하며 최근 10년 가운데 하락거래 비중이 가장 높았습니다.
특히, 해당 수치는 전국과 서울 모두 지난 2019년 3~4분기부터 2021년 3분기까지의 약 2년 동안 직전 대비 5% 이상 상승거래량이 하락거래량보다 크게 웃돌은 것과 대조되는 수치라고 직방 측은 설명했습니다.
통계에 의하면, 지난해 3분기 기준 하락 대비 상승거래량은 전국 기준 1.8배, 서울 기준 3.98배로 최근 10년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거래신고가 진행중인 2022년 3분기 현재는 하락 대비 상승거래가 전국 0.81배, 서울 0.42배를 기록하며 하락거래가 더 많이 집계되는 상황을 보였습니다.
아울러,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지난 2019년~2020년에 정점을 기록한 이후 꾸준히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올해 1분기 기준으로 보면 전국 7만4902건, 서울 3333건으로 2013년 이후 분기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직방 측은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하락거래의 비율이 늘어나는 현상에 대해 아파트 시장 침체기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는 신호로 내다봤습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단기간에 현재의 침체 분위기 전환이 되지 않더라도, 매도자들의 '패닉 셀'과 아파트 시장 경착륙으로까지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며 "그러나 고금리와 불경기 등 아파트 시장을 둘러싼 대외 여건은 아직 우호적이지 않기에 거래 감소 및 하락거래 위주라는 현 상황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