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현대제철[004020]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33.9% 감소한 1조6166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1일 현대제철이 공시한 2022년 연결기준 잠정 실적자료에 따르면, 매출액은 27조3406억원, 영업이익 1조6166억원, 당기순이익 1조38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대비 매출액은 19.7%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33.9%, 31.0% 줄었습니다.
현대제철 측은 "지난해 하반기 시황악화와 파업영향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연간 경영성과를 달성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9월 임금단체협상과 관련해 약 2달여 간 노조 파업이 발생하며 생산에 차질을 겪은 바 있습니다.
현대제철은 올해 생산 정상화에 따른 매출 회복 및 수익성 중심의 경영을 바탕으로 점진적으로 손익을 개선해 나간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글로벌 철강 수요의 반등, 공급망 차질 완화에 따른 자동차 생산량의 증가와 선박발주에 따른 수주잔량 증가 등도 수요 회복의 긍정적 요인이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자동차 강판의 경우 국내 시장에서는 수요 회복에 초점을 맞추고 대응할 계획이며, 해외 시장은 실수요 중심 판매 비중 증대, 전략 강종 판매 확대 등을 펼쳐나갈 계획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목표 판매량은 전년 대비 34% 증가한 110만톤으로 잡았습니다.
에너지프로젝트 수주를 통한 안정적 판매 물량 확보 및 건설용 강재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적으로 펼칠 방침입니다. 물류, 데이터센터 시장 및 모듈러 시장에서의 기술영업을 강화하는 등 신규 성장시장 공략을 통한 제품 수요 확대도 도모할 예정입니다.
연구개발의 경우 저탄소 제품 양산화를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모빌리티의 전동화 전환을 위한 핵심 부품소재 개발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입니다. 디지털 업무 환경 고도화 및 독자적 스마트팩토리 구축 등 철강산업 메가트렌드 대응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에도 속도를 낸다는 구상입니다.
특히 전동화와 관련해 유럽, 미국 등 해외 전기차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투자를 진행할 방침입니다. 유럽에서는 체코 핫스탬핑 공장 증설을 통해 유럽향 핫스탬핑 수주 및 판매를 강화할 계획이며, 미국에서는 현지 전기차 소재 판매기반 확보를 위해 미국 전기차공장 전용 SSC(스틸 서비스 센터)를 설립할 예정입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 회복세가 더디며 경영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지만 수익성 중심의 경영활동을 강화하고 재무 안정성 확보에 집중해 경영실적을 점진적으로 개선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