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19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의 행사장 입구에서부터 엔데믹 이후 사실상 첫 대규모 국내 IT전시회인 '월드IT쇼 2023(이하 WIS 2023)'를 참관하러 온 이들로 장사진을 이뤘습니다.
WIS 2023은 '세계의 일상을 바꾸는 K-디지털'이라는 슬로건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무역협회,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케이훼어즈 등 6개 주관하는 행사입니다. 국내외 9개국 447개의 업체가 참여했습니다. 삼성전자, LG전자, KT, SKT를 포함해 국내외 ICT 대기업과 ICT 분야 연구개발 기관 및 중소기업이 대상입니다.
'WIS 2023'은 IT관련 행사 답게 디지털 기술이 행사장 곳곳에서 활용되었습니다. 표를 구매하는 일반 방문객들은 키오스크를 통해 입장권을 구매했습니다. 비즈니스 관계자는 QR코드를 이용해 등록을 마친 후 표를 구매할 수 있었습니다. 길 안내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활용한 애플리케이션 '그로우맵스'가 맡았습니다.

WIS 2023은 코엑스 1층에 위치한 Hall A와 Hall B, 코엑스 3층에 위치한 Hall C로 나눠서 진행합니다. 각 홀 별로 다른 콘셉트로 운영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Hall A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대학, 기업들이 비즈니스의 교두보로 활용되고 있었습니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과 대학정보통신연구센터협의회(ITRC)가 공동 주관하는 'ITRC 인재양성대전 2023'과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주관하는 '2023 ICT 기술사업화 페스티벌'이 열리고 있었습니다.
'ITRC 인재양성대전 2023'에서는 전국 53개 대학의 인재양성 성과를 선보입니다. '2023 ICT 기술사업화페스티벌'은 정부의 지원을 받은 공공연구기관과 대학, 기업이 주요 기술을 공개했습니다.
Hall B에서는 직접적으로 자사의 제품과 기술을 홍보하는 장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국내 혁신기업들이 투자유치를 할 수 있는 밍글링존(Mingling Zone)이 마련되어있었습니다. 이 밖에도 ▲AI ▲메타버스 ▲보안 등을 주제로 한 기업들이 새로운 기술들을 선보였습니다.
Hall C에서는 삼성전자, LG전자, KT, SKT의 새로운 기술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ICT와 수출 전략에 대한 콘퍼런스가 진행되는 메인스테이지도 준비되어있습니다. 이 밖에도 ▲AI&IoT ▲메타버스 ▲로봇 ▲지능 모빌리티 ▲스마트 리빙 ▲블록체인과 관련된 기술을 선보입니다.
고객 경험 우선시하며 기술과 제품 홍보 나서

SKT는 '도심항공모빌리티(UAM)'와 AI를 내세워 부스를 운영했습니다. 전시장 입구는 SKT의 AI기술 A.(에이닷)의 캐릭터가 서있습니다. 에이닷을 중심으로 SKT의 AI기술과 실제 크기와 동일한 UAM 모델이 설치되어있습니다. 관람객들은 VR장비와 함께 UAM 시뮬레이터를 체험해볼 수 있습니다.

KT는 AI와 로봇, 네트워크 기술을 선보입니다. KT는 최근 광양시에 설치됐던 ITS관련 기술부터, 차량에 탑재하는 인공지능 기술과 클라우드 컨택센터 'KT A’Cen', 음식을 운반하는 '서비스로봇'을 선보였습니다. 실제 차량 안에 탑승하거나 따로 설치된 KT A'Cen 부스에서 관련 기술을 체험 해볼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S23'을 중심으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삼성전자는 9개로 부스를 나눠 운영 중에 있었습니다. 어두운 공간에서 갤럭시 카메라로 사진을 찍거나, 게임을 직접 해보는 체험 활동이 이어졌습니다. 또한 포토 부스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기도 했습니다. 삼성전자가 준비한 9개의 부스를 돌면서 스티커를 모으면 경품을 증정하는 이벤트도 준비되어있습니다.

LG전자는 가전 제품을 중심으로 부스를 운영했습니다. 올레드 TV, 스타일러, 냉장고 등 LG전자의 신제품들을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습니다. 실제 주방을 재현한 공간에 LG의 주방 제품들을 선보였습니다. LG Laps 부스에서는 슈케이스와 슈케어, 실내 자전거 등 새로운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WIS 2023사무국 관계자는 "거시경제 환경에 기업들이 대응할 수 있는 최적의 전략과 시장 트렌드를 전망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WIS 2023은 21일까지 열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