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삼성전자[005930]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실적을 집계한 결과 영업이익 640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95.5%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고 27일 공시했습니다.
반도체 부문에서만 4조580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삼성전자가 반도체 부문에서 분기 적자를 기록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로 2009년 1분기 7100억원 적자를 낸 이후 14년만입니다.
분기 영업이익이 1조원 미만을 기록한 것도 2009년 1분기 이후 처음입니다. 삼성전자는 2009년 1분기 당시 글로벌 경제 위기로 590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매출은 63조745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18.1% 줄었습니다. 순이익은 1조5746억원으로 86.1% 감소했습니다.
삼성전자는 "글로벌경제 불확실성 및 경기둔화 우려로 전반적인 구매심리가 둔화되었다"면서 "DS부문에서 수요 감소 영향을 크게 받으며 매출이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DS부문 반도체 업황 악화 직격탄, 갤럭시 S23 호조로 한숨 돌려
사업 부문별로 보면 반도체를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에서 매출 13조7300억원, 영업손실 4조5800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삼성전자는 "D램의 경우 서버 등 고객사 재고가 많아 수요가 부진했고, 낸드의 경우 수요 약세에도 고용량 제품 수요에 적극 대응해 비트그로스(메모리 용량을 비트 단위로 환산한 비트 생산량 증가율)가 시장 전망치를 웃돌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시스템 LSI는 모바일, TV 등 주요 응용처의 수요 부진에 따라 ▲SoC(System on Chip) ▲센서 ▲디스플레이 구동칩(DDI) 등 주요 제품의 수요가 급감하며 실적 악화에 영향을 끼쳤습니다.
파운드리 역시 글로벌 경기 침체로 수요가 위축됐고 고객사 재고 증가로 주문이 감소하며 실적이 줄었습니다.
디바이스 경험(DX)부문은 1분기 매출 46조2200억원, 영업이익 4조210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모바일경험(MX) 사업이 갤럭시 S23의 판매 효과로 호실적을 냈습니다. ▲플래그십 ▲A시리즈 ▲태블릿 부문에서 영업이익이 개선되며 수익률도 두 자릿수 이상으로 회복했습니다.
영상디스플레이(VD)·가전사업 영업이익은 1900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프리미엄 TV 판매에 주력하고 운영 비용을 절감하며 수익성을 개선했지만, 생활 가전은 수요 위축으로 부진했습니다.
디스플레이(SDC)는 매출 6조6100억원, 영업이익 780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중소형 패널은 시장 위축으로 실적이 하락했고, 대형 패널은 QD-OLED TV 신제품 출시로 적자 폭이 완화됐습니다.
삼성전자는 연구개발(R&D)에 6조5800억원, 시설에 10조7000억원을 투자하며 미래 성장을 위한 투자 기조를 이어갔습니다.
시설 투자액은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36% 증가했고, 역대 1분기 기준으로 최대 금액입니다. 이중 반도체에 9조8000억원, 디스플레이(SDC)에 3000억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반기부터 업황 회복 기대
삼성전자는 2분기도 글로벌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삼성전자는 서버용 신규 CPU출시와 AI수요 확대에 따른 DDR5, LPDDR5x등 하이엔드 제품 수요에 대응하면서 차세대 트랜지스터인 GAA 2나노 등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한다는 계획입니다.
시스템 LSI는 고객사들의 재고 축적 수요가 생길 것으로 예상했고, 모바일 SoC의 경우 AMD와의 그래픽 설계자산 분야 파트너십을 확대할 방침입니다.
파운드리는 2나노 설계 기초 인프라와 고용량 메모리인 8단 HBM3 2.5D 패키지 기술 개발이 실적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DX부문에서도 플래그십 스마트폰과 TV신모델로 수익성 확보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삼성전자는 "DS부문은 서버와 모바일용 고용량 제품 수요에 적기 대응하고, DX부문은 파트너 협업을 통한 점유율 제고를 위해 노력하겠다"면서 "2023년 하반기부터는 글로벌 수요 회복 전망 속에 점진적인 업황 회복을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