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삼영이 커패시터 필름 신규 라인 가동을 바탕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기차용 커패시터 필름 국산화에 따른 중장기 성장 잠재력이 부각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삼영은 지난 1959년 설립돼 1976년 코스피에 상장했다. 필름형 박막 콘덴서 소재인 커패시터 필름을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하고 있다. 주력제품인 커패시터 필름이 국내시장의 약 80% 가량을 점유하고 있는 상황이다.
삼영의 커패시터 매출액은 지난 2018년 258억원에서 지난해 406억원으로 꾸준히 성장해왔다. 특히, 지난해 커패시터 매출액이 전년 대비 29.3% 증가했는데,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원재료가격 상승을 판매 가격으로 전가시켰기 때문이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유럽에서의 전기세, 가스비 등의 급등으로 삼영의 커패시터가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다”며 “이를 바탕으로 유럽 시장 수출이 대폭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영은 하반기 커패시터 필름 신규 라인을 가동할 예정이다. 약 300억원을 투자해 커패시터 캐파를 확대했다. 현재는 커패시터 필름 3개 라인을 가동 중이고 신규 라인은 월 400톤 가량을 생산 가능하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강경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신규 라인을 통해 수율 개선과 비용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며 “삼영은 전기차용 2.3μm이하 커패시터 필름 개발을 완료해 완성차 업체에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NH투자증권은 삼영의 올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전년 대비 12.4%, 840.1% 증가한 1661억원, 98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기차용 커패시터 필름 국산화에 따른 중장기 성장 잠재력이 돋보인다고 분석했다.
강 연구원은 “최근 전기차향 커패시터 필름 수요가 증가하면서 쇼티지(공급부족)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따른 수혜도 기대된다”며 “필름 kg 당 단가가 지난 2020년 4056원에서 지난해 5725원으로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말했다.
한편, 삼영의 주가도 연초부터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초 2400원 전후를 형성하던 주가는 우상향 흐름을 보이며 최근 5000원을 넘어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