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지속적인 물가상승과 가치소비 트렌드, 엔데믹(감염병 주기적 유행) 진입이 맞물리며 초고가의 명품이나 초저가의 가성비 제품에 수요가 몰리는 ‘평균 실종’ 현상이 산업 전반에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양극화 트렌드는 주류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정 반대의 저도주와 고도주, 새로운 ‘도수 양극화’가 트렌드에 민감한 Z세대를 사로잡고 있습니다. 평범한 기존 제품에서 벗어나 도수 부담 없는 비알콜·무알콜 맥주, 알쓰(술이 약한 사람)도 즐길 수 있는 저도주 소주 하이볼, '힙한 술'이 된 위스키 등이 대표적입니다.
비어케이가 수입 유통하는 칭따오는 수입맥주 브랜드 최초로 국내에 비알콜(논알콜릭) 제품인 ‘칭따오 논알콜릭’을 출시했습니다. 칭따오 논알콜릭은 필스너를 베이스로 마지막 단계에서 알콜만 제거한 제품입니다. 몰트를 기존 제품 대비 2배 이상 첨가했고 인공 탄산과 합성향료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2021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맥주대회 중 하나인 '유러피안 비어 스타'에서 골드 어워드를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지난해 판매량은 전년 대비 44% 증가했습니다. 올해 3월에는 기존 논알콜릭에 레몬주스를 더한 ‘칭따오 논알콜릭 레몬’을 출시했습니다. 저온 진공 증류법으로 증류와 숙성을 거쳤습니다.
저도주 시장에서는 도수를 낮춘 소주 하이볼도 주목 받고 있습니다. GS25는 한국형 하이볼 ‘하이요 버블리’를 선보였습니다. 증류식 소주 ‘화요’ 원액 13.2%에 토닉워터와 레몬 농축액을 더해 만든 알콜 도수 6도의 하이볼로 다양한 주류와 음료를 섞어 마시는 ‘믹솔로지’ 트렌드가 반영됐습니다.

이와 반대로 평균 알코올 도수 40도 이상의 고도주 위스키는 올해 역대 최고 수입량을 기록하는 등 MZ세대를 중심으로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과거 ‘올드하다’는 인식이 강했던 위스키는 코로나19로 도래한 홈술·혼술 시대에 보관성과 하이볼 열풍을 타고 성장하고 있습니다.
위스키 브랜드 아메리칸 위스키 잭 다니엘스는 12년 만에 신제품 ‘잭 애플’을 출시했습니다. 지난 3월 더현대 서울에서 열린 잭 애플 출시 기념 팝업스토어는 개점 전부터 오픈런 행렬을 이어갔으며 스페셜 굿즈는 3일 만에 동이 났습니다. 예상 매출의 5배, 예상 물량의 3배를 판매했습니다.
이마트24는 새로운 경험을 찾는 Z세대를 위해 지난달 얼려먹는 위스키 ‘섀클턴’을 선보이며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무더위를 겨냥해 얼렸을 때 셔벗 제형으로 변화하는 섀클턴의 특장점을 강조하는 동시에 ‘프로즌 위스키’라는 새로운 방식으로 20대 사이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주류업계 관계자는 "양극화 현상이 주류업계에도 확산되면서 소주·맥주 같은 기존의 주류가 아닌, 저도주와 고도주로 소비자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있다"며 "라이프스타일과 트렌드가 급변하며 이른 폭염까지 시작된 요즘 취향에 맞는 주류와 시원한 여름, 즐거운 휴가 보내시기 바란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