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Column 칼럼

[서지은의 보험키워드] 은퇴 후 연금,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

URL복사

Sunday, September 03, 2023, 09:09:42

 

서지은 보험설계사·칼럼니스트ㅣ현재 우리나라 100세 이상 인구는 몇 명이나 될까? 조사에 의하면 2022년 2월 기준 총 8323명에 이른다고 한다. 90세 이상 인구는 이보다 훨씬 많다. 100세 시대가 결코 허황한 이야기가 아니라는 뜻이다. 이렇듯 대한민국 평균 기대수명은 1980년 이후 66세 수준에서 84세로 거의 스무 살이 늘어났고, 이는 앞으로도 더 늘어날 전망이지만 취업자의 평균 퇴직 연령은 여전히 50대 중반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은퇴 후 40~50년을 생존하게 될 경우 노후를 어떻게 보낼 것인가? 하는 문제는 결코 가볍게 여길 사안이 아니다.

 

2022년 6월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기초분석보고서에 따르면, 50세 이상 취업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의 응답자들은 평균 70.5세에 은퇴를 희망한다고 답했다. 그러나 실제 현실은 어떨까? 얼마 전 금융권에서 74년생, 77년생을 넘어 80년대생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신청받는다는 뉴스를 접하고 충격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결과적으로 평균 취업 나이가 많아지고 희망 은퇴 연령도 높아졌지만, 실질 퇴직 연령은 점점 낮아지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몇 년전만 해도 서울 시내 설렁탕 한 그릇 값은 약 6000~7000원이었다. 2023년인 지금은 설렁탕값이 1만원에 육박한다. 퇴직 후 20년 동안 1만원짜리 설렁탕을 한 끼로 했을 때 부부가 하루 두 끼만 먹는다고 가정해도 하루 4만원, 한 달이면 120만원, 1년이면 1440만원, 10년이면 1억4440만원, 20년이면 2억8880만원에 이른다.

 

문제는 이 계산에서 설렁탕 가격의 인상은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즉, 최소한의 끼니만 계획한다 해도 노후는 생각보다 훨씬 많은 돈이 필요하다. 국민연금공단에서 내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을 확인해 보라고 홍보하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으로 노후 준비에 대한 고민은 아무리 해도 지나치지 않다. 한 사람의 인생을 집으로 본다면 연금(노후 자금)은 지붕과 같아, 인생이라는 집에서 지붕에 얹는 기와(연금)를 대개는 공적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 이렇게 삼 층으로 준비하라고들 한다.

 

얼마 전 국민연금 미래 예상 수령액을 조회해보고 한동안 심란했던 기억이 있다. 국민연금은 기초생활 보장이 그 목적인데 과연 그 금액으로 내 노후에 기초생활이 가능할지 확신이 들지 않아서다. 국민연금에만 기대지 않고 퇴직연금과 개인연금까지 준비하는 건 결국 내 미래를 대비하는 일이 된다.

 

노후 대비책에 있어 현재 소득이 있는 사람이라면 가장 관심이 가는 분야가 바로 세액공제 연금 상품인 ‘연금저축’과 IRP(개인형 퇴직연금)‘일 테다. 개인연금은 가입 대상이 자유롭고 원금 보장이 가입 후 오래 지나지 않은 시기부터 가능하므로 내 형편에 맞게 가장 높은 이율의 상품을 선택하면 되지만, 연금저축과 IRP는 둘 다 세액공제가 되는 데다 노후보장의 성격임에도 조금씩 조건에 차이가 있어 어떤 것이 내게 유리할지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세액공제 연금저축은 개인이 노후 안정을 목적으로 일정 금액을 적립하여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이 가능한 계좌를 뜻하고, 개인형 퇴직연금인 IRP 계좌는 근로소득자가 퇴직 시 받는 퇴직금을 적립하여 55세 이후 연금 또는 일시금으로 수령 가능한 제도다. 그렇다면 그 둘은 무엇이 어떻게 다른 걸까?

 

먼저 세액공제 연금저축의 경우 누구나 가입할 수 있으며, 해당 기관은 계약자가 납부한 금액을 연금펀드나 ETF(주가연계증권)에 투자해 운용하게 되는데, 이때 위험자산(확정된 수익률이 보장되지 않은 투자 자산)의 투자 한도가 별도로 정해져 있지 않다. 또한 납부하는 동안 세액공제(연간 600만 원까지 연 수입 5500만원 이하 16.5%, 5,500만원 초과 13.2%)를 받지 않은 원금에 한해 불이익 없이 인출이 가능하다. 연금소득 세율은 3.3~5.5%로 높지 않지만, 연금으로 수령하지 않고 중도해지 시 기타 소득세 16.5%를 부과하므로 납입하는 동안 받은 세액공제 혜택은 중도해지와 함께 반납하는 셈이 된다.

 

IRP 계좌는 가입 대상이 근로소득자와 자영업자로 제한이 되며 채권, 예금, 적금, 펀드, 리츠(부동산 간접투자), ELB나 ELS(파생결합증권) 등에 투자해 운용된다.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 한도는 70%로 제한을 두고 있고, 무주택자의 주택 구입이나 부양가족 요양 및 장례비와 개인회생 등의 특수한 이유가 아니면 중도 인출이 불가능하다. 또한 0.2~0.5% 정도의 수수료가 발생하는데 최근에는 이 수수료가 아예 면제되는 곳도 있으니 잘 알아보는 것이 좋다. 또 IRP 역시 중도해지 시 기타 소득세 16.5%가 부과된다. 공제 한도는 900만원인데, IRP와 연금저축을 모두 가입할 경우에도 총공제 한도는 900만원이다(ex. 연금저축 600만원 + IRP 300만원).

 

과거에는 장기근속률이 높아 ’평생직장‘의 개념이 강했다. 그때는 회사를 그만두면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받았다. 그러나 일시금으로 퇴직금을 지급하다 보니 노후 자금으로 쓰여야 할 금액을 투자해 실패하는 예도 많았고, 회사가 도산하면 퇴직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왕왕 발생했다. 이에 회사가 퇴직금을 직접 관리하지 않고 금융기관 등 위탁기관에 맡겨 운용하는 퇴직연금 제도가 생겨났고, 2005년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이 제정되면서 근로자들의 퇴직금을 비교적 안전하게 보장받을 수 있게 되었다.

 

퇴직연금은 사전 확정된 퇴직급여를 수령하는 DC형과 적립금을 근로자가 직접 운용하는 DB형으로 나뉘며, 55세 미만의 근로자라면 DC형을 선택하든 DB형을 선택하든 퇴직금을 수령할 때는 무조건 개인형 퇴직연금 IRP 통장을 이용해야 한다. 개인형 예금통장으로 받는 등의 선택지는 없고 IRP 계좌로 의무 이전되어 퇴직연금으로 연계가 이루어진다.

 

연금저축이 되었든 개인형 퇴직연금이든 가장 중요한 사항은 급여소득이 있을 때는 세액공제 혜택을, 소득이 없어지는 노후에는 준비된 연금으로 노후를 안정적으로 보내자는 데 있다. 어떤 것이 확연하게 유리하다고 판단하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긴 하다.

 

연금저축의 경우 가입 대상의 범위가 넓은 만큼 현재 소득이 높지 않거나 불분명한, 별도의 수수료를 내고 싶지 않으며 공격적인 투자로 수익률을 높이고 싶으면서 연말정산 세제 혜택 한도가 600만원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라면 연금저축을, 노후 자금을 다양한 상품에 투자하고 싶으면서 세액공제 혜택을 연간 900만원까지 최대로 받고자 하며, 원금보장형 상품으로 안정적인 투자를 하고 싶다면 개인형 퇴직연금제도를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물론 이 둘을 세액공제 한도 내에서 적절히 혼합하는 방법도 있다.

 

고령화를 넘어 초고령화를 향해 맹렬하게 달려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는 개인의 노후 준비 필요성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연금은 막연히 노후에 윤택하게 살기 위한 방편이 아닌 생존의 문제이며, 미래의 내게 현재의 수입을 덜어 미리 송금하는 것이다. 연금은 로또가 아니다. 내 안전한 미래를 위한 나와의 약속이다. 나와의 약속을 지키는 일은 미래를 지키는 일이 된다.

 

■서지은 필자

 

하루의 대부분을 걷고, 말하고, 듣고, 씁니다. 장래희망은 최장기 근속 보험설계사 겸 프로작가입니다.

마흔다섯에 에세이집 <내가 이렇게 평범하게 살줄이야>를 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편집국 기자 itnno1@inthenews.co.kr


[인더뉴스 창간기획] ‘싱글슈머(single+consumer) 시대’ 기업의 전략은?

[인더뉴스 창간기획] ‘싱글슈머(single+consumer) 시대’ 기업의 전략은?

2023.09.22 08:32:42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올해로 창간 10주년을 맞아 인더뉴스는 21세기 한국 사회 구조의 가장 큰 변화인 1인 가구 대두에 주목, 기획특집 '싱글슈머(single+consumer) 시대'를 연재합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국내 1인 가구수는 전체 가구 중 41%인 972만 가구에 달합니다.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전통적인 가구 형태보다 혼자 사는 가구가 대한민국 인구구조의 중추가 되었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비단 한국 만의 현상은 아닙니다. 북미와 서구 선진국을 비롯, 동남아 신흥국까지 전개되고 있는 세계적인 흐름이기도 합니다. 이런 변화의 상황에서 기획특집 ‘싱글슈머 시대’는 산업의 최전방에 서 있는 기업들이 어떤 방식으로 1인 가구의 부상에 따른 '솔로이코노미(Solo Economy)'에 대응하고 신제품을 개발, 마케팅을 하는지 살펴봅니다. 이를 통해 기업들이 1인 가구가 다수가 되는 인구구조의 격변 안에서 생존과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치열하게 치열한 전략과 그에 따른 성과를 공유할 예정입니다. 인더뉴스 창간 10주년 기획특집 ‘싱글슈머 시대’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대한민국의 대세, 1인 가구…전체 가구 중 41% 차지 지난 8월 행정안전부가 발간한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에 따르면 주민등록 가구수는 2370만5814가구로 전년도의 2347만2895가구보다 23만여 가구가 증가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출생률 저하로 인구가 감소하는 추세에서 가구수가 늘어난 이유를 1~2인 가구의 증가로 꼽았습니다. 전체 가구에서 1인 가구와 2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2021년 말 64.2%에서 지난해 65.2%로 0.1%포인트 올라 10년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가운데서도 1인 가구의 비중이 2인 가구보다 더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지난해 1인 가구는 972만4256가구로 전체 가구의 41.0%를 차지, 대한민국의 다섯 가구 중 두 가구는 1인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대로 대부분 부모와 자식 관계로 이뤄지는 3인 이상 가구의 비중은 2021년 말 35.7%에서 지난해 연말에는 34.7%로 감소하는 등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런 추세라면 몇 해 안에 1인 가구 수가 1000만을 돌파, 서울의 인구수보다 많아질 확률이 높습니다. 1인 가구의 증가는 한국만의 현상은 아닙니다. 유엔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유럽의 독일과 덴마크, 노르웨이 핀란드는 이미 1인 가구의 비중이 40%를 넘어섰습니다. 또한 영국과 스웨덴, 오스트리아와 스위스, 네덜란드, 프랑스, 이탈리아 등도 1인 가구의 비중이 30% 후반에 달했습니다. 일본과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등 다른 선진국 역시 1인 가구의 비중이 30% 초반에서 20% 후반을 넘어서며 1인 가구의 세계적 흐름은 각국에서 증명되고 있습니다. 이런 1인 가구의 등장은 21세기 전환과 함께 미리 예상한 변화이기도 합니다. 실제로 지난 2007년 스위스 다보스포럼에서 "교육 수준이 높고 전문성을 지닌 2~30대 싱글들이 새로운 소비층으로 부상, 소비 트렌드를 좌우하고 있다"는 내용의 '솔로 이코노미(Solo Economy)' 개념이 제시되었고 이는 실제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당시 다보스포럼에서 '솔로 이코노미'가 부각되면서 1인 가구의 전반적인 확산은 결국 금융과 주택을 비롯한 자본주의 시장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란 목소리들이 커지기 시작했습니다. 한국 역시 1990년대 후반부터 출생률과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라 1인 가구의 증가를 예견했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1인 가구 증가의 속도가 지금처럼 빠를 것이라고 예상하지는 못했습니다. 2013년 통계청의 향후 인구 전망치에 따르면 2020년에 1인 가구 비중이 4인 가구를 앞지르고 2030년에는 32.7%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지만, 2023년 현재 이미 1인 가구의 비중이 41%에 달하고 있고 1인 가구로의 변화는 이제 불가역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1인 가구의 급속한 증가, 기업들의 대응은? 10년 전, 통계청에서 향후 15년 안에 1인 가구가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가구가 될 것이라는 예상치가 발표되자 당시 삼성경제연구소는 "1인 가구는 단순히 구성원의 수가 적은 것이 아니라, 소비패턴 등 여러 측면에서 기존의 2인 이상 가구와는 다른 새로운 소비주체이기 때문에 1인 가구 증가가 경제에 미칠 영향력을 점검하기 위해서는 1인 가구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지적했습니다. 특히 삼성경제연구소는 전 산업분야에서 1인 가구가 새로운 소비주체로 급부상하고 있는 것에 주목, 1인 가구의 세대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 전략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여기서 삼성경제연구소가 특히 눈여겨 본 1인 가구는 "상대적으로 소득수준이 높으나 소비성향은 낮은 40~50대 1인 가구"였습니다. 1인 가구 중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40~50대 남성 1인 가구는 양호한 소득 흐름에도 소비성향이 상대적으로 낮아 기업들이 이를 공략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40~50대 1인 가구의 니즈에 맞는 다양한 고급형 상품을 개발하고, 동시에 노후 준비를 위한 맞춤형 금융서비스 상품도 고안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도 2015년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식품시장 영향과 정책과제'라는 보고서를 통해 "1인 가구 증가로 식품시장에서는 소분 소분량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조리식품 등 간편식 수요 확대 등의 경향이 나타난다"며 "유통부문에서도 편의점과 인터넷 슈퍼마켓 수요 확대와 배달 및 테이크 아웃이 증가하고 있다"고 짚었습니다. 그로부터 10여년이 흐른 현재, 산업 전반에 걸쳐 기업들은 1인 가구로 재편 된 인구구조의 변화 속에서 이전의 제품 개발 및 마케팅 전략들을 재편하거나 혹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통해 1인 가구 '싱글슈머'들의 입맛에 맞는 상품을 내놓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자사의 공식쇼핑몰인 삼성닷컴에서 고객들이 TV 제품을 선택할 때 '독립한 1인 가구'을 조건으로 1인 가구에 맞는 적당한 제품을 추천하는 기능을 선보여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는 소형 SUV 베뉴를 마케팅하면서 '혼라이프를 즐기다'는 카피를 강조했습니다. 혼라이프란 '혼자+life'를 합성한 말로 아예 가족과 관계 없이 혼자 차를 타고 다니는 싱글족을 겨냥해 베뉴의 상품 및 마케팅 포인트를 잡은 것입니다. KB국민은행은 'KB 1코노미 스마트적금'을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1인 가구 고객의 라이프 스타일(여행, 스마트금융, 자산관리 등)과 관련된 다양한 우대이율 및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전용 적금입니다. 1인 가구를 겨냥한 주거 브랜드를 만드는 회사도 생겼습니다. SK디앤디는 1인 가구를 위한 맞춤형 특화 설계가 반영된 주거 브랜드 '에피소드'를 선보였고 서울의 서초, 강남, 신촌, 수유, 성수 등 총 6곳의 지점을 임대 형태로 운영중입니다. KT 자회사인 KT에스테이트도 야놀자클라우드와 손잡고 1인 가구 주거를 위한 '트러스테이'를 설립해 'hevy'(헤이)라는 브랜드로 서울 시내 군자점, 미아점, 신정점을 오픈해 입주자들을 모았습니다. 산업 분야 중 가장 트랜드에 민감한 식음료 및 유통업계에서는 이제 1인 가구를 위한 제품과 서비스들이 주력으로 자리를 잡은 상황입니다. 홈플러스의 경우 기존 3인분 분량으로 출시하던 밀키트를 1인분으로 소분한 제품들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작은 용기 즉석밥'이나 '작은 컵라면'같은 제품들의 매출이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마트의 '나 혼자 수박'은 여름철 히트 상품으로 입지를 굳히며 다른 유통사들의 벤치 마킹 대상이 되었습니다. 풀무원도 1인 가구의 식사량에 맞는 '유기농 미니 순두부'같은 제품을 출시했습니다. 스타벅스는 대학가와 학원가 등 1인 좌석에 대한 수요가 많은 매장에는 1인 좌석을 다른 매장보다 확대 설치하며 '싱글 슈머'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1인 가구가 가구 숫자만 같을 뿐 동질 집단이라고 보기에는 어렵습니다. 기업들이 '싱글슈머'에 대한 전략을 보다 세밀하게 짜야 하는 이유입니다. 이태열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인 가구 소비 지출 구성의 연령별 특징'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1인 가구는 연령 등 다양한 여건에 따라 상당히 이질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집단임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며 "1인 가구 시장에 접근할 때는 연령 여러 특징에 의해 이질적인 경제 형태를 보일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