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동반성장위원회(위원장 오영교)는 제76차 동반성장위원회를 개최하고 대기업, 중견기업 214개사에 대한 '2022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동반성장지수는 동반위의 동반성장 종합평가와 공정거래위원회의 공정거래협약 이행평가 결과를 합산 해 ▲최우수 ▲우수 ▲양호 ▲보통 등 4개 등급으로 구분합니다. 평가에 참여하지 않거나 불성실하게 참여한 기업에게는 '미흡' 등급을 부여합니다.
삼성전자[005930]는 국내 기업 최초로 12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았습니다. 삼성전자는 “상생추구·정도경영이라는 핵심 가치 아래 다양한 상생협력 활동을 펼치고 있다”면서 “1차 협력회사뿐 아니라 2·3차 협력회사, 나아가 미거래 중소기업까지 지원하며 상생협력의 지평을 넓혀가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삼성전자는 2005년 국내 기업 최초로 협력회사 거래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한 바 있습니다. 2010년부터는 1조4000억원 규모 상생펀드를 조성해 협력회사 기술개발·설비투자 자금 등을 저금리로 대출해주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상생협력아카데미 컨설팅센터를 통해 생산성 저하, 불량 등 협력회사의 문제를 발굴, 개선해 공장 운영 최적화와 제조·품질 혁신을 지원 중에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협력회사와의 동반성장을 위해 2013년 설립한 상생협력아카데미는 ▲신입사원 입문교육 ▲미래경영자 ▲직무교육 등 삼성 임직원 교육과정에 준하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협력회사 임직원 18만명 대상으로 진행하고 ▲삼성 협력회사 채용박람회 ▲협력회사 온라인 채용관 등을 통해 5600여명의 인재 채용을 지원한 바 있습니다.
2015년부터 열악한 중소기업의 제조혁신을 위해 맞춤형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했고, 2018년부터는 중기부·중기중앙회와 협력해 삼성전자와의 거래 여부와 상관없이 지원이 필요한 모든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확대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네이버·LG이노텍 등 7년 연속 최우수 기업 선정
네이버[035420]와 LG이노텍[011070]은 7년 연속 최우수 평가를 받았습니다. 7년 연속 최우수 평가를 받은 인터넷 플랫폼 기업은 네이버가 유일합니다.
네이버는 올해 평가에서 ▲자사와 거래하는 파트너들과 SME들이 안정적으로 사업을 돕는 '빠른 정산', '반품 안심케어' ▲프로젝트 꽃 ▲중소파트너와 SME 대상으로 ESG 경영 교육 및 진단 프로그램 제공 등을 인정받았다고 밝혔습니다.
네이버는 창업 초기부터 거래 파트너사에게 모든 거래 대금을 영업일 10일 내 현금 지급해 원활한 자금운영에 기여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시중 은행과 연계한 상생펀드 제도를 통해 파트너사들에게 저리 대출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동반성장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점 역시 긍정적으로 평가됐습니다.
네이버는 앞으로도 파트너사를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ESG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예정입니다.
LG이노텍은 기존에 실시하던 협력사 ESG 지원, 교육지원, 금융지원 등 상생협력 활동에 더해 지난해부터 CEO가 협력사를 직접 찾아가는 'CEO 파트너십데이'를 추진해왔습니다.
LG이노텍은 협력사 임직원 대상의 직무 연관 교육도 강화했습니다. 특히 온라인 학습 프로그램도 연 365개였던 것을 3000여개로 대폭 확대한 바 있습니다. 또한 1430억원의 동반성장펀드도 운영하면서 협력사의 자금 조달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LG이노텍은 오는 4분기부터 경기도에 '협력사 역량강화 훈련센터'를 열어 향후 협력사의 생산 역량과 품질향상을 지원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