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피혁제품 제조업체 유니켐의 경영권 분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새롭게 대표이사에 오른 인물이 과거 다양한 상장사에서 경영권 분쟁을 일으키거나 사건에 연관돼 온 인물로 드러났다. 정재형 유니켐 신임 대표는 경영권 분쟁 이후 경영에 관심을 두기보다 지분 처분을 통해 단기간 차익을 실현하는 패턴을 보여왔다.
이렇다 보니 유니켐에서도 정상적인 경영을 이어나갈지에 대해 의문부호가 붙고 있다. 정 대표 측이 보유한 지분은 보호예수가 없어 언제든 매도가 가능한 구주 물량들이다. 현재 경영권 분쟁 이슈에 따른 주가 상승으로 매도 시 수십억원의 차익을 볼 수 있는 상황이 마련된 상태다.
5일 금융투자업계 및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니켐은 대표이사가 이장원 씨에서 정재형 씨로 변경됐다고 지난달 22일 공시했다. 경영권 분쟁 와중에 햇발의 정재형 대표 측이 이사회를 장악했고 이후 이사회 결의를 통해 이장원 씨를 해임하고 정재형 씨가 대표직에 오른 것.
정 대표는 올해 초부터 햇발을 통해 유니켐 지분을 확보하고 주주행동을 주도해 왔다. 지난 4월 주주제안을 통해 유니켐 사내이사에 선임됐고, 지난달 들어서는 유니켐 이사회를 오롯이 장악했다.
햇발 측과 대주주 측의 갈등은 유니켐이 추진한 카스카디아 골프장 및 리조트 사업이 발단이 됐다. 햇발 측은 카스카디아 콜프장 리조트 사업권 및 토지를 이장원 전 대표의 가족회사인 유니리조트개발에 넘기면서 주주 가치가 훼손됐다고 주장했다. 이에 소액주주들의 동조를 이끌어내면서 이사회 장악 및 이장원 전 대표 해임까지 실현시켰다.
정 대표가 유니켐 이사회를 장악하면서 앞으로 영향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정 대표는 지난 5월 언론 인터뷰에서 주주들의 권익과 회사 발전을 위해 노력할 것이고 유니켐 지분을 꾸준히 늘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정 대표의 과거 이력으로 인해 향후 유니켐 경영에 대한 신뢰도와 진정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정 대표는 지코(현 에스엠벡셀), 제일제강(현 제이스코홀딩스) 등 다양한 상장사에서 경영권 분쟁을 겪어왔다. 이 과정에서 정 대표는 회사 가치 상승을 위한 장기적 안목의 경영보다 구주 매각을 통한 차익 실현에 관심을 보여왔다.
일례로 지난 2020년 그는 개인 회사인 신박한사람들이란 법인을 통해 코스닥 상장사 제이스코홀딩스 지분을 확보한 뒤, 당시 주요주주였던 케이원피플과 공동보유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정 씨는 사내이사에 선임되면서 경영에 참여했다. 케이원피플은 지난 2019년 제이스코홀딩스에서 경영권 분쟁을 일으켰고, 보드진 장악 후 대표이사 자리에 노금희 씨를 앉혔다. 정 씨는 노 씨와 과거 한류타임즈(현 스포츠서울)에서 맺은 인연을 바탕으로 우군으로 활동했다.
이들은 경영을 통해 제이스코홀딩스의 가치를 상승시키기보다 단기간에 경영권을 매각하며 차익을 챙겼다. 특히 정 씨 소유의 신박한사람들은 구주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 워런트 매각을 통해 약 1년만에 17억원의 차익을 실현했다.
앞서 2016년에는 지코(현 에스엠벡셀)에서 개인 회사인 트윈정이라는 법인을 통해 경영권 분쟁을 일으켰다. 임시 주총에서 이사회에 진입하지는 못했지만 인수한 지분을 매각해 차익을 챙겼다. 정 씨와 트윈정은 25억원을 투자해 지분을 확보했고, 당시 주가 수준을 고려했을 때 단기간에 적잖은 이익을 실현한 것으로 추산된다.

이처럼 경영권 분쟁 발생 후 구주 매각 등을 통한 차익 실현이라는 패턴을 보이다 보니 유니켐 지분 취득도 단기 차익 실현의 도구가 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경영권 분쟁 진행 양상에 따라 대규모 구주 출회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햇발 측이 보유한 유니켐 주식 가치는 현재 주가 기준으로 약 200억원에 달한다. 이들이 올해 초부터 매수한 구주를 전부 매도한다면 현재 수십억의 이익을 챙길 수 있는 상황이다.
정 대표는 이같은 논란에 대해 “제일제강에는 백기사로 진입했고 엑시트(투자금 회수) 당시 주가 흐름 상 일반 주주보다 큰 수익을 보지는 못했다”며 “유니켐에서는 적극적인 경영을 할 것”이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