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LG CNS(대표 현신균)는 기업 고객을 위한 생성형 AI 플랫폼 'DAP GenAI'를 출시했다고 12일 밝혔습니다.
'DAP GenAI'는 ▲AI 서비스 ▲AI 프롬프트 ▲LLMOps 등 3대 모듈을 통해 기업의 언어 AI 도입에 대한 솔루션을 제시하는 플랫폼입니다. 고객이 보유 중인 서버나 클라우드 등 인프라에 설치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DAP GenAI'는 기업이 가진 문서, 데이터베이스 등 내부 정보자산만을 활용하고, 다양한 보안 필터 등을 적용할 수 있어 거짓이나 왜곡된 내용을 생성하는 할루시네이션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AI 서비스'는 ▲오픈AI의 '챗GPT' ▲앤트로픽의 '클로드' ▲구글의 '팜2' ▲LG AI연구원의 '엑사원' 등 LLM을 활용 문서 요약, 분류부터 상품 추천, 자료 기반의 보고서 작성까지 진행 할 수 있습니다.
'AI 서비스'에는 내부 정보유출 방지를 위한 필터 기능도 탑재돼 있습니다. LG CNS가 사전 등록한 보안 필터들을 활용할 수 있으며 고객의 내부 보안 규정에 맞춰 필터를 직접 생성해 적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AI 프롬프트'는 '프롬프트'를 만들 수 있는 모듈입니다. AI가 정교한 답변을 할 수 있도록 명령어를 만드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노하우가 탑재돼 미리 구현해둔 프롬프트를 즉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LLMOps'는 기업이 엑사원이나 다양한 오픈소스 LLM을 파인튜닝(미세조정) 함으로써 비즈니스에 특화된 LLM을 만들 수 있도록 돕습니다. 원하는 LLM을 선택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학습시킬 수 있습니다.
LLM을 학습시킬 때에는 파라미터 값을 별도 설정해 LLM의 성능도 조정할 수 있습니다. 학습 과정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합니다.
LG CNS는 고객이 상황별로 서비스 최적의 LLM을 선택해 활용할 수 있도록 'DAP GenAI'를 지속 고도화해나갈 계획입니다.
LG CNS는 언어를 포함해 이미지, 코딩 등 분야의 생성형 AI 서비스 모델을 확보하며 사업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입니다.
LG CNS는 최근 다양한 방법으로 AI서비스에 입출력 할 수 있는 멀티모달 기반 이미지 생성형 AI인 '드래그'를 개발했습니다. 드래그를 활용하면 창작자들의 작업 시간을 줄이고 비전문가들도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 창작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지난 6월에는 코드 생성형 AI인 'AI코딩'도 공개했습니다. 'AI코딩'은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등을 구축할 때 개발자의 코딩 업무를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박상균 LG CNS D&A 사업부장(전무)은 "LG CNS의 생성형 AI 기술 역량을 집약해 고객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현했다"라면서 "앞으로도 고객이 생성형 AI와 같은 원천기술을 통해 비즈니스를 혁신할 수 있도록 앞장서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