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여의도 증권가는 반도체 업종이 2024년 증시를 주도할 것으로 내다봤다. 바이오, 조선, 게임 등의 업황 개선도 주목받고 있다.
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주요 증권사들은 올해 증시 주도주로 반도체를 뽑았다. 감산 효과에 따른 가격 상승과 전방 산업의 회복이 호재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이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11월 한국 수출에서도 반도체 업황 턴어라운드 조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내년 미국 내 투자를 견인하는 주체도 IT로 이동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DRAM 가격은 향후 5개월 변동성 구간 이후 15개월간 상승할 것”이라며 “DRAM 가격 전망치와 삼성전자 영업이익을 회귀분석하면 삼성전자 영업이익은 내년 3분기 8조2000억원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도체주와 더불어 조선, 바이오, 게임 업종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들은 대부분 2022년과 2023년 수익률 하위에 포진했고, 올해 이익 개선 가능성을 고려했을 때 주도 테마 등극 요건을 갖췄다는 평가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조선은 주요 기업들의 흑자 전환이 기대되는 가운데 LNG선, 컨테이너선 등 신규 수주에 힘입어 예상에 부합하는 실적을 이어갈 것"이라며 "상반기 비중 확대가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신한투자증권은 바이오와 게임 업종이 EPS가 바닥에서부터 개선 중이라고 전했다. 지수 내 2%대였던 거래대금 비중이 소외주로서 지위와 빈 수급을 나타내, 펀더멘털 변곡점 도래 시기와 맞물려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변수라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고금리 환경이 개선될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바이오 투자환경은 긍정적”이라며 “금리 하락으로 고PER 부담이 완화되면 주가는 위를 향해 움직일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