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NH농협금융지주(회장 이석준)는 2023년 당기순이익(지배주주지분 이익 기준)이 2조2343억원으로 집계됐다고 16일 밝혔습니다.
2022년(2조2309억원)과 비교해 0.2%(34억원) 소폭 증가한 것으로 경기 불확실성 대응을 위한 선제적인 손실흡수능력 제고에도 비이자이익 증가에 힘입어 전년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수수료이익과 유가증권운용이익 등을 합한 비이자이익은 1조6859억원으로 1년 전보다 무려 156.3%(1조282억원) 큰폭으로 늘었습니다.
특히 유가증권 운용이익이 4189억원에서 1조4478억원으로 245.6%(1조289억원) 증가했습니다.
반면 이자이익(8조5441억원)은 10.6%(1조118억원) 감소했습니다. 보험 회계기준 변경에 따른 이자이익 감소분을 제외하면 실질 이자이익은 전년 대비 7.8%(7481억원) 증가한 것이라고 농협금융은 설명합니다.
농협금융은 2022년 7820억원이던 신용손실충당금전입액을 지난해 2조1018억원(1조3198억원↑)으로 대폭 확대했습니다.
자산건전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대손충당금적립률은 251.20%에서 202.12%로 낮아졌습니다. 농협금융은 안정적인 미래손실흡수능력을 위해 충당금 적립기준을 보수적으로 적용하고 프로젝트파이낸싱(PF) 충당금을 추가적립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그룹 연결손익은 작년과 유사한 수준이지만 비이자이익 증가와 손실흡수능력 제고를 통해 더욱 안정적인 손익구조를 다졌다고 스스로 평가했습니다.
주요 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2022년말 0.30%에서 0.57%로 높아졌습니다.
농협금융은 농협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지난해 4927억원의 농업지원사업비를 지출했습니다. 전년보다 9.4%(422억원) 늘었습니다.
농업지원사업비는 농협법에 따라 농협중앙회에 매년 납부하는 분담금으로 농협 본연의 목적사업인 농업인·농촌 지원사업 재원으로 활용됩니다. 농업지원사업비 부담 전 당기순이익은 2조5774억원입니다.
이와 함께 은행권 민생금융지원 동참으로 2148억원, 사회공헌으로 1735억원을 각각 지출했습니다.
주요자회사 농협은행의 당기순이익은 1조7805억원으로 전년보다 3.63%(623억원) 증가했습니다. 농협은행 연체율은 2022년말 0.27%에서 0.43%, 고정이하여신비율도 0.26%에서 0.37%로 올랐습니다.
NH투자증권은 5564억원으로 83.39%(2530억원), 농협손해보험은 1453억원으로 26.68%(306억원) 각각 순이익이 늘었습니다. 반면 농협생명은 1817억원으로 16.27%(353억원), 농협캐피탈은 855억원으로 17.07%(176억원) 각각 감소했습니다.
농협금융은 "올해 불확실한 경영여건에 대비해 선제적인 리스크관리와 내부통제·소비자보호를 강화하고 안정적인 경영기반을 확립할 것"이라며 "농협금융 본연의 역할인 농업·농촌 지원과 금융회사로서 사회적 책임 이행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