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코스닥 상장사 우양이 미국 내 케이푸드(K-Food) 열풍에 힘입어 냉동핫도그와 냉동김밥 등 가정간편식(HMR)의 수출이 늘어날 것이란 가능성이 제기됐다. 오는 4월부터 대형 유통망을 통한 냉동김밥 수출을 본격화로 외형 성장을 이룰 것이란 전망이다.
1992년 설립된 우양은 2019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과일퓨레, 고구마 페이스트 등 농산물 가공 제품과 냉동핫도그, 냉동김밥 등 HMR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우양은 미국 현지 대형 유통 체인과 계약을 완료하고 오는 4월부터 냉동김밥을 수출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2분기부터 관련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손현정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2~3월 선적이 완료되면 2분기부터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냉동김밥 생산량은 월 90만개 수준으로 월 20~25억원의 신규 매출 창출이 가능한 규모"라고 말했다.
핫도그 품목의 수출도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상반기 이후부터 미국 코스트코에 핫도그가 납품되며 수출액이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우양의 핫도그 미국 수출액은 지난해 1분기 22억원에서 지난해 3분기 54억원으로 늘었다.
우양은 미국을 시작으로 동남아, 유럽 등으로 냉동김밥 판매 지역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회사 측은 올해 1분기에 호주, 일본, 대만 등 글로벌 코스트코로의 확장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손 연구원은 "해외 케이푸드 열풍으로 핫도그가 코스트코 글로벌 소싱 품목으로 확정됐다"며 "해외 대형 마트에 핫도그를 납품할 수 있는 기업은 우양이 유일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우양의 지난해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대비 17.1%, 1256% 늘어난 1913억원, 13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 이후 핫도그 수출이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지난 3분기 기준 HMR 매출 중 88%가 핫도그로 나타났다.
올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대비 14.5%, 630.8% 늘어난 2190억원, 95억원으로 추정된다. 상반기 자동화 설비 구축으로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란 분석이다. 손 연구원은 "올해 제품 믹스개선, 원재료 하락과 가격인상, 자동화 설치 완료 등으로 수익성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한다"며 "2분기부터 냉동김밥 신제품 매출 증가에 따른 레버리지 효과로 수익성과 함께 재무 안정성 개선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우양 주가는 최근 변동성을 키우고 있다. 연초 4000원 중반대를 형성하던 주가는 5000원 초반대까지 치솟았다가 현재 4000원 중반대를 기록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