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11번가는 주력사업인 오픈마켓 부문에서 올해 4개월 연속(3~6월)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했으며 올해 상반기(1~6월) 누적 상각전영업이익(EBITDA) 또한 흑자를 기록했다고 18일 밝혔습니다.
11번가는 오픈마켓 사업에서 올해 상반기 누적 영업이익을 전년 동기 대비 120억원 이상 개선헀습니다. 11번가 전체 영업이익도 같은 기간 전년 대비 200억원 이상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해온 체질 개선 노력으로 이커머스의 경쟁력을 높여 수익성을 개선하고 있다고 11번가 측은 설명했습니다. 특히 지난해부터 강화해 온 버티컬 서비스와 전문관의 성장세가 실적 개선을 이끌었습니다.
식품·패션·뷰티 등 전략 카테고리의 판매를 확대하고, 가격 경쟁력을 높인 ‘다이내믹 프라이싱(DP)’ 시스템과 참여형 콘텐츠로 많은 고객을 확보해 오픈마켓 사업이 안정적인 실적을 이어갈 수 있는 펀더멘털을 확보한 것도 주효했다는 평가입니다.
지난해 2월 론칭한 신선식품 전문관 ‘신선밥상’과 올해 1월 선보인 간편식 전문관 ‘간편밥상’ 등 식품 버티컬 서비스는 올해 상반기 매달 평균 100억원 규모의 결제거래액을 기록했습니다. 가성비 상품 전문관 ‘9900원샵’의 상반기 월평균 결제거래액도 지난해(9~12월)보다 3배 이상(233%) 증가했습니다.
올해 3월 선보인 AI 추천 트렌드 패션 버티컬 서비스 ‘#오오티디(#OOTD)’는 지난 6월 결제건수가 오픈 초기(3월) 대비 3.2배(223%) 급증했습니다.
올해 상반기 11번가의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업계 2위를 유지했습니다. 게임형 이벤트 ‘11키티즈’를 비롯해 로또 형식의 리워드 이벤트 ‘십일또’, 숏폼 서비스 ‘플레이’ 등을 올해 새롭게 추진한 결과입니다. ‘11키티즈’ 이벤트 참여 고객의 월 평균 결제거래액은 일반 고객 대비 30% 많았습니다.
지난해 도입한 다이내믹 프라이싱 시스템도 성과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11번가는 실시간 변화하는 상품 가격을 계속 추적하면서 시장 최저가를 확보하는 시스템을 자체 기술로 구현했는데, 이 시스템을 통해 최근 두 달 간(5~6월) 이뤄진 결제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4.6배(357%) 증가했습니다.
11번가는 하반기 연내 모바일 앱 첫 화면인 ‘홈탭’을 전면 개편할 예정입니다. 상품운영 방식을 전환, 더욱 많은 상품을 모바일 화면을 통해 선보여 고객 쇼핑 경험 확대에 나섭니다. 또 대학생, 2030세대 등 고객을 세분화해 혜택을 제공하는 타깃 맞춤형 서비스도 준비 중입니다.
안정은 11번가 대표는 "고객의 니즈를 겨냥한 차별화된 서비스, 효율적인 마케팅 운영 등을 통해 근원적 경쟁력을 높이며 지속적인 흑자를 만들어낼 수 있는 기반을 다졌다"며 "하반기에도 지속 가능한 성장과 수익성 강화를 목표로 오픈마켓 사업의 연간 흑자를 반드시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