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ompany 기업

[인더필드] 최태원 회장, “미래 인재상은 지금과 다를 것…어떻게 육성할지 고민”

URL복사

Tuesday, November 26, 2024, 18:11:09

26일 '미래인재 컨퍼런스' 인재 토크 세션 패널로 참가
사회 문제 해결을 미래 인재상의 중요한 요소로 꼽아
'입체적인 로케이션', '디자인 능력'을 필요한 능력이라 강조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현재의 가치는 대부분 경제 시스템에 포커스(집중)되어 있으나 미래에는 사회 문제를 풀어나가는 것이 훨씬 중요할 것이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26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미래인재 컨퍼런스' 인재 토크 세션 패널로 참가해 이같이 말했습니다.

 

한국고등교육재단 창립 50주년을 맞아 개최된 이번 컨퍼런스는 '인재의 숲에서 인류의 길을 찾다'와 '가지 않은 길에서 혁신을 찾다'를 주제로 열렸으며 미래 인재상과 재단의 인재 양성 방향성에 대해 주로 공유하고 토론이 진행됐습니다.

 

염재호 태재대 총장이 좌장으로 나선 토론에서 최 회장은 인재 토크 세션의 패널로 참여해 이대열 존스홉킨스대 교수, 이석재 서울대 교수, 이진형 스탠퍼드대 교수, 김정은 메릴랜드대 교수,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 등과 토론에 참여해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해 강조했습니다.

 

최 회장은 "사회를 잘 이끌어나갈 수 있는 인재가 좋은 인재상이지 않을까"라며 "집단 지성을 통해 사회 기저에 깔린 많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서, "지식이 많은 사람이 인재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으며 과거에는 실제로 그랬다"라며 "하지만 미래의 사회가 안정적 사회가 되느냐 마느냐는 집단 지성이 존재하느냐로 결정될 수도 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최 회장은 이날 故 최종현 SK그룹 선대회장이 한국고등교육재단을 설립할 때 사회과학 계열에 가장 먼저 장학생 선발한 일화를 언급했습니다. 최 회장은 당시 최 선대회장이 "50년 후에 대한민국은 잘 사는 나라가 될 것이며 그리 되면 많은 사회 문제가 생겨 사회과학자를 많이 필요로 할 것"이라 말했다고 회고했습니다.

 

이에 따라 최 회장 역시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능력을 갖추는 것이 미래 인재상의 중요한 능력이라고 여기고 이와 같이 발언한 것으로 보입니다.

 

최 회장은 어떤 인재가 바람직한 인재인가에 대해서 "자신이 어디에 와있는지 좌표를 설정할 수 있고 방향성을 가진 채 문제를 풀어나갈 '입체적 로케이션' 능력을 가져야 인재다"라며 "어떠한 상황이 주어지더라도 그 상황을 풀어나갈 수 있고 정의할 수 있으며 리소스를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디자인 능력' 역시 중요하다"라고 답했습니다.

 

이어서 "10년, 20년 뒤에는 민주주의도, 자본주의도 바뀌어 있을 것"이라며 "향후 미래 인재상을 어떻게 육성할지 고민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습니다.

 

육성법에 대해서는 "지난 50년 간은 능력을 가장 우선으로 선발해 미국 최고의 학교에서 최고의 학자들과 경쟁하고 협동하게 해 그 레벨의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 기본 디자인이었다"라며 "하지만 앞으로의 인재는 학위의 측면에서 접근하는 개념이 아니며 해외에 위탁 교육을 보낼 필요도 없을 것이다. 새로운 디자인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밝혔습니다.

 

이어 "현재 인재림이라는 프로그램을 진행 중인데, 대학생을 선발해 프로젝트 태스크(Task)를 맡겨 집단 지성으로 문제 해결을 시도하게 하고 있다"며 "교육도 더 이상 획일을 강요하지 않고 맞춤형 교육을 시도할 것"이라 덧붙였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이종현 기자 flopig2001@inthenews.co.kr

배너

삼성생명 “실패해도 행복하면 괜찮아” 메시지에 2030 열광

삼성생명 “실패해도 행복하면 괜찮아” 메시지에 2030 열광

2025.07.20 23:04:43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삼성생명(대표이사 사장 홍원학)은 공식 유튜브 채널 구독자가 연초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26만1000명으로 집계됐다고 20일 밝혔습니다. '보험을 넘어서는 보험'이라는 슬로건에 아래 기존 보험 콘텐츠 틀에서 벗어나 젊은 세대 삶과 정서에 깊이 공감하는 메시지를 담아낸 결과라고 삼성생명은 의미를 부여합니다. 올해 2분기부터는 '젊음과 가능성이 길어진 시대에 맞춰 개인의 도전과 성장을 응원하는 보험'이라는 메시지를 전면에 내세우며 슬로건에 담긴 브랜드 철학을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보험상품과 보장에 대한 단순안내를 넘어 시대변화에 따라 재정의된 보험의 역할과 의미를 콘텐츠에 담아내고 있는 것입니다. 시대적 공감을 이끌어내고자 하는 콘텐츠에 2030세대도 적극 화답하고 있습니다. 연초 12만명에 머물던 삼성생명 공식 유튜브 채널 구독자는 7개월여만에 26만명을 돌파했습니다. 유튜브 콘텐츠 관련 상호작용(좋아요·댓글·공유등)은 700여건에서 8000여건으로 11배가량 큰폭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삼성생명 공식 인스타그램 채널 팔로워는 연초 대비 2배 이상 늘어나 9만명을 넘었고 콘텐츠에 대한 반응(좋아요·댓글·저장등) 또한 30%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같은 성과의 중심에는 유튜브 웹예능 '망중왕전'이 있다고 삼성생명은 설명합니다. 망중왕전은 '망해야 우승하는 오디션'이라는 역발상에 토대를 둔 콘텐츠입니다. 다양한 실패를 겪은 참가자 사연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최종우승자는 100만원의 '갱생지원금'을 받습니다. '실패해도 괜찮다'는 시대적 정서를 위트있게 반영해 젊은세대 구독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길거리 인터뷰를 통해 세대간 공감을 이끌어내는 '과거의 오늘 뭐하셨나요', 2030세대 딸의 시선으로 보험설계사 엄마의 하루를 담은 '내일은 FC', 금융상식을 알아보는 게릴라 퀴즈쇼 '보험 들고 챌린지', AI 캐릭터를 활용해 일상생활과 관련된 보험정보를 알기 쉽게 전달하는 '궁금해리 알려달리' 등 다양한 포맷의 콘텐츠를 선보이며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삼성생명 '별리' 캐릭터를 활용한 인스타그램 콘텐츠도 브랜드 정체성을 2030세대에 더욱 가깝고 친숙하게 풀어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랜덤 음료 뽑기', '직장인 명언시리즈' 등 직장인의 일상과 감정을 유쾌하게 풀어낸 콘텐츠는 수차례 공유되며 높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보험이라는 어려운 주제를 젊은세대가 공감할 수 있는 콘텐츠 언어로 쉽게 풀어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고객 일상에 응원과 감동을 전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라이프파트너'로서 삼성생명의 이미지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