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B·U·G News 부·울·경 뉴스

부산대 G-램프 사업단, 美 국립표준기술연구소와 연구 협력 강화

URL복사

Thursday, February 06, 2025, 10:02:24

부산대 G-LAMP, NIST와 첨단 연구 협력

 

인더뉴스 제해영 기자ㅣ부산대학교 G-램프(Global-Learning & Academic Research Institution for Master’s·PhD Students, and Postdocs, 이하 G-LAMP) 사업단이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이하 NIST)와 공동 연구 및 인력 교류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습니다.

 

이번 협약식은 지난 4일(현지 시간) 미국 NIST의 Polymer Science Building에서 진행됐으며, 부산대 G-LAMP 사업단 정재훈 단장과 NIST의 Sheng Lin-Gibson 박사가 서명했습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지구환경 변화와 생물 대응 연구를 공동으로 수행하고 연구원 파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협력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NIST는 미국 상무부 산하 연방 정부 연구기관으로 1901년 설립됐으며, 측정표준 개발, 기술 혁신 지원, 신소재 및 나노기술, 화학·바이오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간 3400여 명의 연구원이 참여하며, 연간 예산이 10억 달러를 초과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기관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부산대 G-LAMP 사업단은 지난해부터 NIST와 긴밀한 협력을 이어왔습니다. 부산대 화학과 이상학 교수가 연구 교류 차원에서 NIST에 파견돼 ▲단백질 응집에 의한 질병의 분자 메커니즘 연구 ▲적외선 분광법 및 이미징 기술을 활용한 해양 생태계 내 미세플라스틱 분석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이러한 협력 성과를 바탕으로 이번 MoU를 체결하게 됐습니다.

 

이번 협약은 세포 구조, 단백질 응집, 해양 미세플라스틱 등 환경 변화에 따른 분자 분석을 연구하기 위한 첨단 분광 및 현미경 기술 개발과 응용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부산대 G-LAMP 연구진은 해양환경 변화와 관련된 생체분자 응집 작용 메커니즘 연구, 광학 이미지 및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머신러닝 기술 활용 등의 강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연구 시너지를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협약의 일환으로 부산대 G-LAMP 소속 이진민(부산대 화학과 박사과정) 학생이 이달부터 1년간 NIST에 연구원으로 파견됩니다. 이진민 학생은 Young Jong Lee 박사 연구팀에서 ‘QCL IR(퀀텀 캐스케이드 레이저 적외선) 분광 및 이미징 기술을 활용한 분자 응집 및 미세플라스틱 분석 연구’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연구비 지원을 받으며 최첨단 기술을 익히고 공동 연구를 진행하는 등 글로벌 연구 환경에서 연구 경험을 쌓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NIST 연구소 내에 부산대와의 공동 연구 사무실을 개설해 지속적인 연구 협력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부산대 G-LAMP 사업단 정재훈 단장은 “이번 협력은 해양환경 변화 분자 분석과 생체 내 반응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기관 간 공동 연구 및 인력 교류의 모범 사례가 될 것”이라며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생물학적 시스템 분석 및 첨단 분광 기술 개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할 전망”이라고 말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제해영 기자 helloje@hanmail.net

배너

기재부 이원화·환경부 확대…이재명 정부 첫 조직개편 목적은?

기재부 이원화·환경부 확대…이재명 정부 첫 조직개편 목적은?

2025.09.08 09:47:19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이재명 정부가 첫 정부조직 개편안을 발표했습니다. 기획재정부를 둘로 나눠 예산 기능을 분리하고 환경부를 확대 개편해 기후문제와 에너지 정책까지 아우르는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신설하는 것이 주요 골자입니다. 지난 7일 행정안전부가 고위 당정 협의 결과를 토대로 발표한 정부조직 개편안에 따르면 우선, 기획재정부는 2026년 1월 2일부터 예산 기능을 떼어내 국무총리 소속의 ‘기획예산처’로 분리합니다. 기획예산처는 예산편성과 재정정책, 장기 국가발전 전략을 담당하고, 처장은 국무위원으로 임명됩니다. 남은 기재부는 '재정경제부'로 개편돼 경제정책 총괄·조정과 세제, 국고 업무 등을 담당하며 장관은 경제부총리를 겸하게 됩니다. 정부는 이를 통해 재정과 경제정책을 분리해 상호 견제와 균형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입니다. 기재부 개편 외에 환경부를 확대 개편한 ‘기후에너지환경부’ 신설도 눈에 띄는 대목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업무 일부를 흡수해 환경·기후변화와 에너지 정책을 통합 관리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기존 산업부는 ‘산업통상부’로 명칭이 변경하고 원전 수출 등 일부 기능은 계속 담당합니다. 이 외에도 기재부가 관리하던 기후대응기금과 녹색기후기금도 이관돼 재원 운용 일원화를 추진합니다. 정부는 기후위기 대응 컨트롤타워를 강화하는 동시에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이 밖에도 금융위원회를 금융감독위원회로 개편, 금융정책과 금융감독 기능을 분리하며 금융위와 금감원 업무가 재경부, 금융감독위원회(금감위), 금감원, 금융소비자보호원(금소원) 등 4곳으로 나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금융위원회는 출범 18년만에 사실상 헤채될 수순을 밟게 되었습니다. 인공지능 거버넌스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과학기술과 인공지능 분야를 총괄 조정하는 과학기술부총리를 신설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부총리를 겸임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교육부장관이 겸하고 있는 사회부총리의 경우 넓은 정책 범위 및 낮은 실효성을 고려해 폐지합니다.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의 기능을 확대 개편하여 인공지능 컨트롤타워로서 위상을 강화하고. 중소벤처기업부에 소상공인 전담 차관을 신설해 소상공인 지원 육성과 보호 등 소상공인 관련 기능을 종합적으로 수행할 방침입니다. 방송통신위원회를 대신할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가 신설하고 검찰의 수사·기소 분리를 위해 검찰청을 폐지하고 공소의 제기와 유지, 영장 청구 등을 수행하기 위해 법무부 장관 소속으로 공소청을 신설합니다. 부패 범죄, 경제 범죄 등 중대 범죄에 대한 수사를 수행하기 위해 행정안전부 장관 소속으로 중대범죄수사청도 신설합니다. 또한 통계청과 특허청을 각각 국가데이터처와 지식재산처로 격상하고 여가부의 성평등가족부 확대 개편도 추진합니다.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정부조직 개편이 완료되면 중앙행정기관 규모는 현행 19부 3처 20청 6위원회에서 19부 6처 19청 6위원회로 바뀌게 됩니다. 이번 개편은 정부조직법 등 법률 개정안이 공포되는 시점부터 즉시 시행할 예정입니다. 다만, 내년도 예산안 국회 심사 일정을 고려하여 기획예산처, 재정경제부 및 금융감독위원회 개편은 2026년 1월 2일부터 그리고 공소청, 중대범죄수사청 설치는 세부 개편안 마련을 위한 준비 기간을 고려해 법률안 공포일로부터 1년 후에 시행할 계획입니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이번 개편에 대해 "국민이 원하는 핵심 국정과제를 이행하고 새 정부 국정목표를 뒷받침하기 위한 첫 단계로 정부 부처 기능을 효율화하고, 기후위기, AI 대전환 등 복합 문제를 다룰 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