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제해영 기자ㅣ부산 지역 해양수산 연구기관들이 한자리에 모여 해양수산 현안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2025 국립부경대학교-해양수산 전문 연구기관 공동 심포지엄’이 지난 26일 국립부경대학교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심포지엄은 ‘지속 가능한 해양수산을 위한 기후 회복 전략’을 주제로, 해양수산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과 대응 방안을 공유하는 자리였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국립부경대를 비롯해 국립수산과학원,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국립해양조사원, 한국수산자원공단,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해양수산연수원 등 9개 기관이 참여했습니다.
오전 10시부터 부경컨벤션홀에서 열린 1부 행사에서는 김영석 교수(환경지질과학전공)의 ‘G-램프사업단의 기후변화 대응 연구’와 이희승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원장의 ‘기후변화 대응 해양수산분야 최신 연구 동향’ 강연이 진행됐습니다.
오후 2부 행사에서는 두 개의 섹션이 동시 진행됐습니다. 국립부경대 수산과학대학이 주관한 ‘지속 가능과 블루푸드’ 섹션은 동원장보고관에서 개최됐으며, 환경·해양대학이 주관한 ‘해양기후재해 및 해양오염, 생물다양성과 회복력’ 섹션은 환경해양관에서 열렸습니다.
‘지속 가능과 블루푸드’ 섹션에서는 국립수산과학원 임현정 과장이 ‘지속 가능한 양식을 위한 미래양식 전략’을 발표했고,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홍성열 박사는 ‘우리나라 수산생물전염병 방역체계 및 청정국 지위 획득 노력’을 주제로 발표했습니다.
또한 한국해양수산연수원 박태선 교수는 ‘지속 가능한 원양어업을 위한 어선인력 양성 방안’을,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임진홍 선임연구원은 ‘고부가 선박 주요 기술 및 표준동향’을 소개했습니다.
같은 시각 환경해양관에서는 ‘기후변화와 연안재해’(국립부경대 김백민 교수), ‘해양예측시스템 및 연안재해 예측기술’(국립해양조사원 변도성 박사), ‘기후변화에 의한 해양 생태계 및 수산업의 영향과 전망’(국립수산과학원 한인성 과장) 등 다양한 연구 발표가 진행됐습니다.
국립부경대는 이번 심포지엄이 부산 지역 해양수산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관련 기관들의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