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최이레 기자ㅣCJ가(家)의 지배구조 재편 작업이 본격화하고 있다는 전망이 확산되면서 증권가에서는 CJ의 기업가치가 상승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그룹 승계 과정의 핵심 자회사로 평가받는 CJ올리브영(올리브영)의 최근 몸집 불리기 행보를 지주회사인 CJ와 합병 시그널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정서적 반감이 심한 올리브영의 중복상장 우려가 완화됐다는 점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최근 하나증권과 SK증권은 CJ의 목표주가를 크게 올렸습니다. 지난 20일 하나증권은 14만원에서 18만원으로, SK증권은 12만5000원에서 15만원으로 각각 28%, 20%씩 상향 조정했습니다.
증권가는 그간 CJ 주가를 짓누른 올리브영의 상장 가능성이 축소된 점을 이유로 들고 있습니다. 이달 14일 올리브영은 한국뷰티파이오니어(신한 SPC)가 보유한 지분 11.29%를 매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거래가 완료되면 올리브영의 자사주는 기존에 보유 중인 11.29%에 더해 22.58%로 늘어나게 됩니다. 이 경우 지분 구도는 자사주(22.58%)를 포함해 CJ 51.15%, 특수 관계인 25.55%로 우호지분 99.28%로 채워지게 됩니다.
CJ그룹이 올리브영의 IPO로 가닥을 잡았다면 굳이 외부 지분을 사들일 필요가 없다는 게 업계 중론입니다.
상장을 할 경우 신규 주주의 등장으로 인한 경영 간섭이나 세금 이슈와 같은 리스크가 상존하지만 자사주 매입을 통해 후계자들의 올리브영 지분율을 높인 뒤 합병하게 되면 기업 지배력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향후 지배구조 개편 진행 과정에서 CJ가 올리브영을 IPO하기보다는 합병 방식에 나설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고 판단한다"며 "IPO를 염두에 뒀다면 외부 지분을 굳이 내부화할 이유가 적다"고 설명했습니다.
현재 올리브영의 개인 최대주주는 이재현 CJ그룹 회장의 아들이자 CJ제일제당 식품성장추진실장인 이선호씨로 11.04%를 보유 중입니다. 이 회장의 장녀인 이경후 CJENM 브랜드전략담당실장도 4.21%을 들고 있습니다.
따라서 증권가에서는 올리브영이 자사주 매입 절차를 마무리하는대로 소각 작업에 들어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주식 수가 줄어든 만큼 지분율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소각 후 이선호·이경후 실장의 지분율은 각각 14.26%, 5.44%로 상승합니다.
이와 함께 올리브영의 자산 축적 행보를 통한 몸집 불리기 역시 합병을 위한 일종의 포석으로 읽히고 있습니다.
지난달 올리브영은 2021년부터 임대 면적의 40%를 사용하고 있는 KDB생명타워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습니다. 예상 매입가는 6800억원으로 알려졌는데 인수에 필요한 이 자금은 자체 조달한다는 계획입니다.
통상 상장사와 비상장사가 합병할 경우 상장사는 주식 '시가'로, 비상장사는 '자산가치'로 합병 비율을 산정하게 됩니다. 이는 합병법인과 피합병법인 간 주식 교환 비율로 볼 수 있습니다.
즉, 올리브영은 자산가치를 극대화해야 향후 합병 과정에서 유리한 비율을 끌어낼 수 있고 이는 합병 후 유력 후계자들의 지주회사(CJ) 지배력 강화로 연결된다는 분석입니다.
이에 따라 CJ 주가 상승 동력이 될 올리브영의 자산가치 극대화 전략이 지속될 수밖에 없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최관순 SK증권 연구원은 "비상장사인 올리브영에 대한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CJ 주가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며 "올리브영의 구체적인 활용방안이 결정될 때까지 CJ 주가에는 CJ올리브영 가치가 추가로 반영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