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LG전자[066570] LG전자는 내달 5일 독일 베를린에서 개막하는 IFA 2025에서 빌트인형 ‘히든 스테이션’과 프리스탠딩형 ‘오브제 스테이션’ 등 2종의 로봇청소기 신제품을 선보인다고 28일 밝혔습니다.
히든 스테이션은 주방의 '데드 스페이스(문 뒤, 코너 등 활용이 어려운 빈 공간)'인 싱크대 걸레받이 부분에 설치가 가능합니다. 자동 개폐 도어를 적용해 로봇청소기가 청소를 시작하거나 끝낼 때 알아서 드나들고 평소에는 깔끔한 외관을 유지하게 했습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LG전자는 날개를 회전시켜 오수를 빼내는 방식 대신 공기압으로 배출시키는 에어펌프를 적용해 스테이션 내 부품의 부피를 줄였습니다. 이 외에도 부품의 집적도를 높이도록 새로 설계해 스테이션의 높이를 기존 약 50cm에서 약 15cm로 낮췄습니다.
히든 스테이션은 직배수관을 연결하는 자동 급배수 전용 모델로 로봇청소기를 쓰고 싶지만 집이 좁아 설치할 공간을 찾기 힘들었던 고객들에게 유용합니다. 스팀으로 인한 습한 공기를 스테이션 바깥으로 배출하는 LG전자의 특허 출원 기술로 먼지통 등 내부에 습기가 차지 않게 했습니다.
오브제 스테이션 역시 로봇청소기가 스테이션 안으로 들어가 보이지 않습니다. 침실, 거실 등 원하는 공간에 설치가 가능합니다.
두 제품 모두 먼지 흡입과 물걸레 청소는 물론, 사용한 물걸레의 세척과 건조까지 알아서 해줍니다. 또 로봇청소기 본체와 스테이션 모두에 스팀 기능을 적용해 청소 성능과 위생 관리의 편의성을 끌어올렸습니다.
로봇청소기는 본체에서 물을 끓여 실시간으로 뜨거운 스팀을 만들고 물걸레로 직접 분사합니다. 스팀은 뜨거운 물보다 더 많은 열 에너지를 저장하고 있어서 물걸레 표면에 뿌려지면 숨은 열을 방출하며 말라붙은 초콜릿, 커피와 같은 찌든 얼룩과 주방 바닥 기름때 등을 효과적으로 녹여 제거할 수 있습니다.
스테이션에서는 물걸레를 스팀으로 살균해 위생적입니다. LG전자는 스테이션에 탁도 센서를 적용해 세척 시 물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세척 횟수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물걸레를 관리할 수 있게 했습니다. 오염도에 따라 냉수, 온수, 스팀 등 세척 옵션을 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로봇청소기 주행 기술에 LG전자가 자체 개발한 AI 사물인식 기술도 적용됐습니다. AI칩과 라이다·3D 카메라·초음파·범퍼 등 각종 센서로 주변 환경과 장애물을 인식하며 주행하고 청소합니다. 예를 들어 음식 부스러기가 떨어지기 쉬운 주방에서는 더 촘촘하게 주행하고 흡입력도 강하게 하는 식입니다. 측면에는 라인레이저 센서가 추가돼 전선과 같이 바닥에 위치한 장애물까지 인식할 수 있습니다.
신제품은 카펫을 제외한 영역을 먼저 청소하고 스테이션으로 돌아가 스스로 물걸레를 탈거한 뒤 다시 카펫만 따로 청소합니다. 카펫을 감지했을 때는 바닥에 밀착해 먼지를 더 잘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 구조도 바꿉니다. 또 고객이 LG 씽큐(ThinQ) 앱에서 설정하면 이에 따라 AI가 카메라를 기반으로 바닥의 오염을 인식하고 스팀을 이용하여 맞춤 청소합니다.
음성인식 기능 추가로 인터넷에 연결돼 있지 않아도 "청소 시작해", "중단해" 명령어를 인식해 작동합니다.
한편, LG전자는 올해 IFA에서 웻 앤 드라이 무선 스틱 청소기 신제품도 공개합니다.
흡입 전용 스틱 청소기는 필터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기와 먼지를 분리해 먼지통으로 집어넣는 마이크로 사이클론 기술과 필터 겉면의 먼지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 제거하는 필터 클리닝 기능을 적용해 오래 사용해도 강력한 흡입력을 유지합니다.
웻 앤 드라이 스틱 청소기는 움직이는 방향을 감지해 부드럽게 제품을 당길 수 있게 도와주는 AI 롤러 컨트롤 기능이 적용돼 사용자의 손목 부담을 줄입니다. 청소가 끝나고 스테이션에 걸어두면 자동으로 사용한 걸레를 세척하고 스팀 살균, 열풍 건조를 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