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고(故) 이건희 삼성 선대회장의 5주기를 맞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을 비롯한 삼성 오너일가가 경기도 수원의 가족 선영에서 열리는 추도식에 일제히 참석합니다.
23일 재계에 따르면 24일 열리는 5주기 추도식에는 홍라희 삼성미술관 리움 명예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 김재열 삼성글로벌리서치 사장 등이 참석합니다.
전영현 삼성전자 부회장, 오세철 삼성물산 사장, 홍원학 삼성생명 사장 등 전·현직 경영진 150여명도 선영을 찾아 선영을 찾습니다.
추도식 후 이 회장과 관계사 사장단은 용인에 위치한 삼성인력개발원에서 오찬을 함께하며 고인의 업적을 기릴 예정입니다. 이 회장은 이 자리에서 미국 관세 등 불안정한 국제 정세에 대한 대응 방안을 사장단과 논의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 선대회장의 5주기를 계기로 이른바 'KH(건희) 유산'의 가치도 다시금 주목받고 있습니다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등 유족들은 고인의 유지를 기려 지난 2021년 미술품 기증 및 의료공헌 등을 통해 사회 환원을 실천했습니다. 유족은 12조원이 넘는 상속세를 마련하기 위해 상속 재산의 상당 부분을 매각할 것이라는 예상을 깨고 사회에 환원했습니다.
유족은 한국 미술계의 발전을 위해 선대회장이 평생 모은 문화재와 미술품 2만3000여점을 국가기관 등에 기증했습니다.
국보 14건, 보물 46건 등 지정문화재가 다수 포함된 고미술품 2만1600점은 국립중앙박물관에, 국내외 작가들의 근대작품 1600여점은 국립현대미술관에 기증됐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은 전국 주요 박물관·미술관에서 2021년부터 '이건희 컬렉션' 순회전을 총 35회 열었으며 350만명이 넘는 관람객이 다녀갔습니다.
유족은 ‘어린이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성장은 우리의 사명’이라는 고인의 유지를 받들어 소아암·희귀질환 환아의 치료와 선진 의료지원 체계 구축을 위해 3000억원을 기부했습니다.
이와 함께 코로나를 겪었던 2021년에는 감염병에 대응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7000억원을 기부하기도 했습니다. 7000억원 중 5000억원은 중앙감염병전문병원 건립에 활용하고 있으며 2000억원은 질병관리청 산하 국립감염병연구소의 최첨단 연구 시설 건축과 감염병 백신·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 등 감염병 대응 인프라 확충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故 이건희 선대회장 유족들의 의료기부 이후 유명 인사와 기업들의 기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방탄소년단(BTS)의 멤버 정국은 2023년 10억원을, 가수 이승기는 2022년 20억원을 각각 서울대 어린이 병원에 기부한 바 있습니다.
재계 관계자는 “이 선대회장 유족의 문화예술품 기증과 의료 기부 등 ‘KH 유산’은 우리 사회에 기부 선순환을 일으키는 마중물로도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