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 #. 직장인 조수영 씨는 1~2주에 한 번씩 플라워 클래스에 참여해 꽃다발과 꽃바구니를 직접 만든다. 식탁은 물론 집안 곳곳에 꽃과 식물로 장식해 이른바 '플라워 데코&테라피'를 즐긴다.
조 씨는 “해외로 여행을 갔을 때 유럽은 일반 슈퍼마켓에서도 한 켠에 꽃을 판매해 튤립이랑 장미를 산 적 있다”며 “종류가 크게 많진 않았지만, 취향대로 고를 수 있고, 가격도 부담이 없어서 우리나라 마트에도 소규모꽃을 팔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꽃을 취미로 배우거나 식물을 활용한 인테리어가 떠오르고 있다. 반려 식물이라는 신조어도 생겨난 상황. 이런 트렌드를 간파한 것일까?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도 꽃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단순히 취미 차원이 아니라 사업적인 측면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용진 부회장은 최근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슈퍼마켓에서 판매하는 꽃 사진과 함께 "마트와 꽃은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다”며 ”끝까지 밀어붙여 볼 계획”이라고 언급해 마트의 꽃 판매에 대한 강한 의지를 나타냈다. 향후 이마트 매장에서 꽃 판매 가능성도 시사했다.
정 부회장의 꽃사진 포스팅에 대한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업로드 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순식간에 '좋아요'가 5000개를 넘겼고, 200개가 넘는 댓글이 달렸다. 대부분 "유럽처럼 마트에서 우유를 사듯이 그 날 식탁에 꽂을 꽃을 살 수 있으면 좋겠다"는 긍정적인 반응이었다. 꽃 가격이 저렴했으면 좋겠다는 당부의 내용도 있었다.
현재 신세계그룹은 스타필드 하남점에 있는 PK마켓에서 꽃을 판매하고 있다. 매장 한 켠에 꽃과 식물코너를 만들어 방문객들이 과일, 야채를 장바구니에 담듯이 포장된 꽃을 고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매장 내 별도의 꽃집이 입점해 있는 방식과 달리 슈퍼마켓에서 직접 판매하는 구조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최근 꽃과 작은 화분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면서 PK마켓에서 테스트 차원에서 판매하고 있다”며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인테리어 등에 관심도 높아진 건 사실이지만 실제로 소비로 이어질 지는 두고봐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이나 유럽의 슈퍼마켓은 매장 입구에 꽃들이 진열돼 있다. 여러가지 꽃을 섞어 꽃다발을 만드는 게 아니라 장미, 튤립, 국화 등 개별 꽃을 소규모로 포장해 판매하는 방식이다. 슈퍼에서 고기와 야채를 사는 것처럼 마음에 드는 꽃을 골라 장바구니에 담는다. 가격도 저렴한 편이다.
영국 런던에 거주하고 있는 김민희 씨는 “평소 퇴근 후 슈퍼마켓에 장을 보러 가면 꽃이나 허브 화분을 종종 구매한다”며 “식탁 위에 올리기 위해 주로 장미나 튤립을 사는데 가끔씩 저녁 시간에 가면 30%정도 할인하기 때문에 평소보다 저렴하게 살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정용진 부회장이 강한 의지를 보인 만큼 향후 이마트에서도 꽃 판매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평소 정 부회장은 유럽 브랜드와 문화 등에 상당한 관심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세계는 올해 상반기 스타필드 하남점과 명동에 영국의 유명 드러그스토어인 '부츠(Boots')'를 오픈할 예정이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유럽과 미국 등은 꽃을 사는 일이 일상으로 자리잡았고, 과거부터 슈퍼마켓에서도 작은 다발 형식을 판매하고 있다”면서 “아직 시장 테스트 정도에 머무르는 단계인데, 본격적으로 확대한다고는 할 수 없지만 관심있게 지켜보는 사업 중 하나인 건 맞다”고 말했다.
한편, 정용진 부회장이 올린 해당 포스팅은 현재 삭제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