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News Plus 뉴스+

‘2년 만에 20배’...CJ제일제당, 냉동면 매출 2000억 가능할까?

URL복사

Tuesday, October 30, 2018, 14:10:26

냉면·스파게티 등 냉장면 이어 칼국수·짬뽕 냉동면 시장 진출..2020년까지 2000억 목표
건강 염려하는 소비자 늘면서 유탕면 니즈 줄어..“비비고 왕교자 노하우로 시장 공략할 것”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 CJ제일제당이 냉장면에 이어 냉동면으로 '면'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선다. 국내 면시장은 유탕면인 '라면'이 독보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 이런 가운데 비비고 왕교자 등 냉동 HMR(가정간편식)제품 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만든 냉동면으로 도전장을 내밀었다. 

 

현재 100억원대인 냉동면 시장 규모를 2년 후인 2020년까지 2000억원대로 끌어올리겠다는 게 CJ제일제당의 목표다. 다만, 기존 유탕면과 냉장면 등 기존 업체들이 면 시장에서 탄탄하게 자리잡고 있어 냉동면에 대한 시장 반응은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30일 CJ제일제당에 따르면 국내 면시장은 소면이 대표 품목으로 포함된 건면(1세대)에서 라면을 포함한 유탕면(2세대)으로 진화해 왔다. 2000년대 이후부터 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튀기지 않은 생면시장이 성장해 냉장면(3세대)소비가 증가했다. 

 

면 시장에서 가장 인기 있는 제품은 기름에 튀긴 유탕면인 '라면'이다. 국내에선 농심과 오뚜기, 삼양라면 등이 라면 시장 점유율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HMR제품 등 라면을 대체할만한 제품들이 속속 등장하면서 라면 시장이 주춤해지고 있다. 

 

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2017년 라면 시장 총 매출액은 2조 976억원으로 2016년(2조 1612억원)에 비해 감소했다. 라면 매출액은 지난 2013년 1조 9728억원에서 2014년 1조 9128억원으로 줄어든 이후 2015년 1조 9590억원을 기록해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 2016년에는 라면 매출 2조원을 돌파하면서 회복세를 보였지만, 2년 만에 다시 시장 규모가 쪼그라들기 시작했다. 농심과 오뚜기 등 라면업체는 건강을 강조하거나 과거 인기 제품을 리뉴얼한 라면을 선봬 성장 정체에 시달리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CJ제일제당은 우동, 스파게티 등 냉장면 제품으로 면 시장에 진출했다. 회사 내부적으로 농심이나 오뚜기처럼 라면 시장 진출에 대해 고민이 많았지만, 라면을 만드는데 필요한 소재(밀가루 등)를 경쟁업체에 납품하는 이유로 유탕면 시장에 발을 내딛지 못했다. 

 

이에 기름에 튀기지 않고, 생면을 사용하는 우동, 스파게티, 냉면, 비빔면 등 냉장면을 선보였다. 겨울엔 우동, 여름엔 비빔면과 냉면이 불티나게 팔렸다. CJ제일제당에 따르면 국내 냉장면 시장 규모는 2000억원으로 제일제당이 40%, 풀무원이 36.6%, 오뚜기 7.1%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냉장면 시장이 정체된 상태다.  라면이 건강에 해롭다는 인식과 함께 재료의 신선함이 떨어지고 자극적인 맛 때문에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기 시작한 것이다. 냉장면은 유통기한이 비교적 짧고, 보존을 위해 산미 처리를 하는 등 원물 그대로 맛을 느끼지 못하는 한계도 있다.

 

이에 CJ제일제당은 냉동 간편식 R&D기술력을 바탕으로 냉동면 시장 개척에 나섰다. 냉장면에 이어 냉동면으로 라면 시장까지 넘보고 있다. 다른 업체들이 보유하고 있지 않은 냉동면 개발 기술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 나간다는 계획이다. 

 

앞서 CJ제일제당은 비비고 왕교자를 출시해 냉동만두 시장 패러다임을 바꿨다. 출시 3년 만에 1000억원대 브랜드로 키웠고, 2017년 기준 시장점유율 43%를 돌파하며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비비고 왕교자를 통해 HMR 냉동 기술력과 함께 단기간에 (메가)브랜드로 키운 노하우가 있다”며 “다른 업체들이 보유하고 있지 않은 냉동면 기술력으로 2년 만에 매출 2000억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권지영 기자 eileenkwon@inthenews.co.kr

배너

통신3사, 추석 연휴 기간 통신 품질 ‘집중 관리’ 돌입

통신3사, 추석 연휴 기간 통신 품질 ‘집중 관리’ 돌입

2025.10.02 14:28:32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추석 연휴가 다가오는 가운데 이동통신 3사가 추석 연휴 특별 소통 대책을 마련하고 이동통신 품질 집중 관리에 들어갑니다. 최근 연이은 해킹 사고로 보안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은 상황인 만큼 3사는 신뢰 회복을 위해 트래픽과 보안 관리에 더욱 힘쓸 예정입니다. SK텔레콤[017670]은 추석 연휴 전날인 2일부터 마지막 날인 9일까지 특별 소통 상황실을 운영하고 SK브로드밴드, SK오앤에스, 홈앤서비스 등 자회사와 SK AX 등 관계사와 협력해 대응 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대응 인력도 강화해 연휴 기간동안 총 1만2000여명을 투입해 전국 통신망을 24시간 모니터링합니다. SKT는 추석 당일인 6일에는 데이터 트래픽이 평시 대비 약 19% 증가해 연휴 기간 중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해외여행객들이 이용하는 국제 로밍 트래픽도 추석 연휴 기간 평시 대비 최대 3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SKT는 전국 주요 기차역, 버스 터미널, 휴게소, 공항, 주요 관광지, 숙박시설, 번화가, 성묘지 등을 중심으로 5G 및 LTE 기지국 용량 증설을 완료했습니다. 또 국지적 데이터 트래픽 증가가 예상되는 고속도로 상습 정체구간의 이동통신 품질 점검은 물론 고객들이 귀성·귀경길에 자주 이용하는 에이닷 등의 서비스 관리에도 집중할 예정입니다. 보안 측면에서도 통합보안관제센터를 중심으로 디도스 공격·해킹 시도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상황 발생 시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24시간 집중 분석할 방침입니다. KT[030200]는 추석연휴 기간 네트워크 집중 관제 체계를 가동하고 4000여명의 네트워크 전문가를 전국에 배치한다고 밝혔습니다. 과천 네트워크 관제센터를 중심으로 종합상황실을 운영해 유무선 통신 서비스 이상 유무를 24시간 상시 모니터링할 예정입니다. 또 교통 정체가 예상되는 주요 고속도로, 휴게소 및 인파 밀집 지역인 터미널, KTX/SRT 역사, 공항, 쇼핑몰 등 전국 총 665곳을 네트워크 집중관리 지역으로 선정하고, 이동통신 기지국 증설 및 서비스 품질 점검을 완료했습니다. KT는 'AI 클린메시징 시스템'을 통해 스팸을 실시간으로 대응하고 차단할 방침입니다. 또한, 악성파일 분석 특화 AI모델 'AI 디도스 스캐너'로 통신망 디도스(DDoS) 공격에 대비하겠다고도 밝혔습니다. LG유플러스[032640]는 서울 마곡사옥에 종합상황실을 열고 24시간 집중 모니터링에 돌입합니다. 또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KTX/SRT 역사, 버스터미널, 공항 등에 있는 5G 및 LTE 기지국의 사전 점검 등을 통해 품질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최적화 작업도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명절 통화량 및 데이터 사용량 추이를 분석해 주요 고속도로 요금소 및 휴게소 상습 정체구간등 중요 거점지역에 현장요원을 배치하고 상시 출동 준비태세를 갖추는 등 돌발 상황에 대비할 예정입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