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박경보 기자ㅣ 현대·기아자동차가 올해부터 정기 공개채용을 폐지하고 직무중심 상시공채로 전환한다. 기존 방식으로는 제조업과 ICT기술이 융복합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인재를 적기에 확보하기 어렵다는 판단 때문이다.
현대·기아차는 올해부터 대졸 신입사원 채용을 본사 인사부문이 관리하는 정기 공개채용에서 각 현업부문이 필요한 인재를 직접 선발하는 직무중심의 ‘상시 공개채용’ 방식으로 전환한다고 13일 밝혔다.
기존 정기공채는 향후 필요인력 규모를 사전에 예상해 정해진 시점에 모든 부문의 신입사원을 일괄 채용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경영환경이 급변하고 있어 실제로 신입사원이 배치될 시점에는 현재 상황에 맞는 인력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상시 공개채용은 각 부문별로 인력이 필요한 시점에 연중 상시로 진행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원자 입장에서도 관심 있는 직무를 중심으로 필요역량을 쌓으면서 연중 상시로 지원할 수 있다. 취업에 실패하더라도 6개월을 다시 기다릴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상시 공개채용 방식에서는 각 부문이 특정 직무의 인력이 필요한 시점에 채용공고에서부터 전형, 선발 등 모든 채용과정을 직접 진행한다.
이 때문에 기존 정기공채 대비 지원자가 입사 후 일하게 될 직무에 대한 세부정보와 필요한 역량을 채용공고를 통해 더욱 상세하게 공개할 수 있다.
또한 현대·기아차의 각 부문은 직무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해당 부문만의 차별화된 채용방법과 전형과정을 수립하기로 했다. 지원자들은 희망하는 직무와 상관없는 불필요한 ‘스펙’을 쌓는 대신 본인이 하고 싶은 일에 역량을 갖추는데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현재의 산업환경에서는 인문학과 자연과학, 공학 등 다양한 전공으로부터의 지식을 두루 갖춘 융합형 인재가 요구된다”며 “각 부문별로 필요로 하는 융합형 인재 형태가 달라 향후 부문별 채용공고를 통해 요구하는 역량을 상세하게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는 지난달 말부터 연구개발본부의 수소전기차와 상용차개발 분야를 시작으로 신입 및 경력사원을 상시 공개채용으로 선발하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인력채용 외에도 조직변경과 인력관리 등도 각 부문이 자율적으로 실행하고 의사결정을 하도록 해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력을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