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이진솔 기자ㅣ 이동통신 업계가 5G 요금제를 두고 ‘무제한 치킨게임’이 시작되는 양상이다. 통신 1위 사업자의 경우 자사 LTE 고객 중 5G로 갈아탈 때 다른 통신사로의 이탈을 막기 위한 조치로 분석된다. 반대로 경쟁사는 요금제를 통해 고객을 선점하겠다는 전략이다.
이같은 통신사의 무제한 요금제 출혈 경쟁은 결국 회사에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지적이다. 향후 5G 서비스 관련 설비투자 부담이 더해지면서 매출 및 영업이익 잠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4일 이동통신 3사가 5세대 이동통신(5G) 요금제를 내놓으면서 데이터 이용량 상한선을 없애는 ‘무제한’ 출시를 두고 눈치 싸움이 활발하다.
KT가 먼저 포문을 열었다. 지난 2일 5G 요금제 4종을 공개하면서 데이터 무제한 상품을 포함시켰다. 월 5만 5000원에 8GB(QoS 1Mbps)를 제공하는 ‘슬림’을 제외한 ‘베이직’·‘스페셜’·‘프리미엄’은 데이터 상한선과 QoS가 없는 완전 무제한이다.
특히 월 8만 원에 무제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베이직은 파격적이다. 선택 약정 25% 할인 시 6만 원으로 떨어지는 저렴한 가격 때문이다. 각각 월 요금이 13만 원·10만 원인 프리미엄·스페셜 요금제와 테더링 전용 데이터 외에는 눈에 띄는 차이가 없다.
KT가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중심으로 5G 상품을 구성하자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SK텔레콤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급하게 수정 신고를 내고 기간 한정 무제한 요금제가 들어있는 5G 요금제 4종을 지난 3일 출시했다.
지난달 29일 이통3사 중 가장 먼저 5G 요금제를 공개했던 LG유플러스도 기존 요금제를 수정했다. 3종이었던 상품군을 4종으로 늘리고 기간 한정 완전 무제한 요금제를 포함한 요금안을 4일 내놨다.
특히 새로 추가된 ‘스페셜’ 상품은 프로모션 한정으로 5만 8500원에 무제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무제한 8만원 선을 구성하던 경쟁사들보다 한 발 더 나아간 셈이다.
시장에서는 회사의 손익계산을 고려하지 않고, 경쟁을 위한 치킨게임’이 시작됐다고 보고 있다. 업계는 올해 5G 가입자를 전체 LTE 가입자의 10%인 300만 명으로 예상하고 있다. 무제한 요금제 출시로 트래픽 증가가 심화되면 이통사들은 예상보다 빠른 설비투자 압박에 직면하게 된다.
문제는 현 시점에서 설비투자 비용을 예측하기 힘들다는 점이다. 김홍식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5G 시대에는 월 3000GB 이상을 쓰는 유저가 나타날 수 있다”며 “(통신사가)아직 28GHz 네트워크 장비 가격과 투자 규모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중저가 요금구간에서 데이터 무제한을 제공하기 때문에 가입자를 10만원 이상 고가 요금제로 유인할 방안도 마땅치 않다는 지적이다. 통신사들은 연말까지 요금제 할인 등 프로모션을 진행하는데, 이후 요금 인상 혹은 무제한 폐지 카드를 내밀 경우 소비자 반발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무제한 요금 출시 경쟁이 통신사 수익 악화로 이어진다는 전망이 기우라는 주장도 있다. 정지수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대용량 트래픽을 유발하는 테더링 서비스 제한으로 데이터 트래픽이 무한정 늘 가능성은 원천 차단했다”며 5G 핵심인 B2B에서 사업 기회를 찾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통신업계는 신중한 입장이다. 한 이동통신사 관계자는 “설비 투자비가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히 예상하고 있다”며 “5G 서비스 이용자 증가세와 트래픽 추이를 면밀히 살펴 대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