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Zoom in 줌인 Car 자동차

틈새시장 공략하는 르노삼성...QM6 LPG모델 출시

URL복사

Monday, June 17, 2019, 10:06:10

출시 3년 만에 페이스리프트 단행..외관 디자인 다듬고 신규 트림 추가
LPG모델, 안전성 높이고 편의사양 강화..판매가격 2376만~2946만원

 

인더뉴스 박경보 기자ㅣ 르노삼성자동차의 주력모델인 QM6가 3년 만에 새 옷으로 갈아입고 재도약에 나선다. 가솔린 모델로 틈새 시장을 공략했던 QM6는 LPG 모델로 다시 한번 새로운 시장에 도전할 방침이다.

 

르노삼성은 중형 SUV QM6의 페이스리프트(부분변경) 모델인 ‘더 뉴 QM6’를 공개하고 판매에 돌입했다고 17일 밝혔다. 품질과 사양을 개선한 더 뉴 QM6는 국내 유일하게 LPG 파워트레인을 적용한 모델로, 사양을 고급화한 ‘프리미에르’ 트림도 추가했다.

 

르노삼성은 이번 신형 모델의 외관 디자인을 크게 바꾸지 않고 디테일한 요소만 변화를 줬다. 소비자들의 QM6를 구매하는 핵심요인 가운데 1위가 ‘외관 스타일링’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이미 인정받은 디자인과 정숙성 등 기존 장점은 살리고 디테일을 개선했다는 게 르노삼성의 설명이다.

 

외관 디자인은 라디에이터 그릴 및 안개등 크롬 데코 디자인이 개선됐고, 전면 범퍼에 크롬 버티컬 라인이 적용됐다. 또한, 스퀘어타입 LED 전방 안개등을 전 트림에 기본 적용하고, 기존 RE 트림에만 제공하던 18인치 투톤 알로이 휠도 LE 트림으로까지 확대했다.

 

2열 시트 리클라이닝, 운전석 메모리 & 마사지 시트, 운전석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풀 스크린 애플 카플레이, 안드로이드 오토 등 편의사양도 대폭 늘어났다. 특히 불편하다고 지적받아 온 중앙 디스플레이에는 기본화면에 공조장치 위젯이 배치됐다.

 

 

더 뉴 QM6의 LPe 트림은 현재 국내시장 유일의 LPG SUV다. 르노삼성에 따르면, LPG 모델은 가솔린 모델 못지않은 주행성능과 승차감에다 친환경성 및 탁월한 경제성까지 더한 다양한 장점이 특징이다.

 

특히 LPG 모델은 신차안전성평가(KNCAP) 충돌안전성 1등급을 획득해 안전성을 인정받았다. LPG 탱크를 트렁크 하단 스페어 타이어 공간에 탑재할 수 있는 도넛탱크도 적용해 후방 추돌사고 시 2열 탑승객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했다.

 

또 연료탱크는 기존 원통형 재질보다 경도는 높으면서 무게는 가벼운 강판을 사용했고, 탱크 두께를 15%나 강화해 안전성을 대폭 개선했다. 엔진은 3세대 LPI 방식을 채택해 주행성능뿐 아니라 겨울철 시동불량 우려까지 말끔히 해소했다.

 

도넛탱크 용량은 75리터이며, 80% 수준인 LPG 60리터를 충전할 경우 약 534km까지 주행 가능하다. 5년/10만km 주행 기준 총 유지비용 측면에서 볼 때 중형 SUV뿐 아니라 준중형 SUV와 비교해도 경쟁력이 있다는 평가다.

 

최고수준의 품질과 경험을 원하는 고객들을 위해 GDe 엔진 모델에 프리미에르 버전도 추가했다. 차별화한 외관 디자인과 인테리어 감성품질, 정숙성, 안전성 등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프리미에르 모델에는 라디에이터 그릴과 도어트림 데코에 전용 로고가 적용됐다. 또 프리미에르 전용 스키드, 프랑스 파리의 에펠탑을 형상화한 19인치 투톤 전용 알로이 휠, 1열과 2열 윈도우에 모두 적용한 이중접합 차음 글라스 및 2열 프라이버시 글라스, 빈티지 레드 컬러 등이 신규 적용됐다.

 

디자인뿐만 아니라 편의사양도 모두 프리미에르 전용으로 업그레이드했다. 더 뉴 QM6 GDe 프리미에르 트림에는 S-링크(8.7인치 내비게이션)와 12개의 스피커를 갖춘 보스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이 모두 기본 적용된다.

 

더 뉴 QM6 GDe 모델의 가격은 SE 2445만원, LE 2602만원, RE 2838만원, RE 시그니처 3014만원이다. 고급화 모델인 GDe 프리미에르는 3289만원으로 책정됐다. QM6 LPe 모델의 가격은 SE 2376만원, LE 2533만원, RE 2769만원, RE 시그니처 2946만원이다.

 

김태준 르노삼성 영업본부장은 “빠르게 변하는 트렌드에 맞춰 소비자 취향을 충족시켜줄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는 물론, 수준 높은 품질도 제공해야 한다”며 “프리미에르와 LPe 트림을 신규 출시해 QM6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고객 선택권도 넓힐 것”이라고 말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박경보 기자 kyung2332@inthenews.co.kr

배너

삼성중공업, 3411억 규모 원유운반선 3척 수주

삼성중공업, 3411억 규모 원유운반선 3척 수주

2025.10.24 11:42:06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삼성중공업[010140]은 라이베리아 지역 선주로부터 원유운반선 3척을 3411억원에 수주했다고 24일 공시했습니다. 이번 계약으로 삼성중공업은 올해 총 52억달러 규모의 수주를 기록했습니다. 상선 부문은 수주목표 58억달러 중 45억달러(78%)를 수주했고, 해양 부문은 7억달러 규모의 예비 작업 수주에 이어 코랄 FLNG와 델핀 FLNG 수주로 목표액 40억달러 수주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연간 수주 현황은 선종 별로 LNG운반선 7척, 셔틀탱커 9척, 컨테이너운반선 2척, 에탄운반선 2척, 원유운반선 9척, 해양생산설비(1기) 예비 계약 등 30척입니다. 다양한 선종으로 수주 포트폴리오를 넓혀 나가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에 수주한 원유운반선 3척은 베트남 조선소에서 건조할 예정으로 알려저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삼성중공업은 거제조선소를 기술개발 허브로 육성하는 한편 LNG운반선, 친환경 컨테이너선, FLNG 등 고부가 가치 선박 건조 중심으로 특화하고 있습니다. 반면 원유운반선의 경우 설계, 주요 장비 구매 조달은 삼성중공업이 수행하고, 전선(全船) 건조는 중국은 물론 동남아시아 및 국내 조선소에 맡기는 방식으로 글로벌 오퍼레이션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7월 그리스 센트로핀과 11월 다이나콤 탱커스에서 수주한 원유운반선 총 8척을 싱가폴 팍스오션 그룹 산하 중국 주산 조선소에서 전선 건조하고 있습니다. 올해 9월 그리스 뉴쉬핑에서 수주한 원유운반선 2척은 국내에서 건조할 예정으로 이러한 협업 모델을 통해 국내 중소형 조선소와 상생 협력을 확대해 나갈 방침입니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최근 삼성중공업은 '인도 스완조선소' 와 조선사업 협력을, 미국 '비거마린그룹'과도 MRO를 포함한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등 글로벌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다"며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대응해 지속 가능하고 경쟁력 있는 유연 생산 체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