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삼성전자는 그 동안 ‘무노조 경영’을 원칙으로 삼았습니다. 이 같은 원칙은 반세기 만에 깨지게 됐습니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산하 삼성전자 노조가 16일 공식 출범 선언하면서인데요.
진윤석 삼성전자 노조 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한국노총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노동자의 권익은 우리 스스로 노력하고, 쟁취하는 것이지 결코 회사가 시혜를 베풀 듯 챙겨주는 것이 아닌 것을 깨달아야 한다”며 “우리는 진정한 노동조합 설립을 선언한다”고 말했습니다.
지금까지 삼성전자 내부엔 3개 소규모 노조가 있었지만, 양대(민주노총, 한국노총)노총 산하 노조가 들어서는 것은 처음입니다. 삼성전자 노조는 지난 11일 고용노동부에 노조 설립 신고서를 제출했고, 노동부는 13일 노조 설립 신고증을 교부해 합법적인 노조를 인정했습니다.
앞으로 삼성전자는 노조는 단체교섭을 포함한 노동조합법에 규정된 노조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게 됩니다.
진윤성 위원장은 “삼성전자의 영광은 회사에 청춘과 인생을 바친 선배들과 밤낮없이 일한 동료 여러분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이라며 “하지만 회사는 모든 성공을 경영진의 혜안과 탁월한 경영능력에 의한 신화로만 포장해 그들만의 축제를 벌였다”고 비판했다.
진 위원장은 ▲ 특권 없는 노조 ▲ 상시적으로 감시받고 쉽게 집행부가 교체되는 노조 ▲ 일하는 모습이 눈에 보이는 노조 ▲ 제대로 일하는 노조 ▲ 상생과 투쟁을 양손에 쥐는 노조 ▲ 협력사와 함께하는 노조가 되겠다고 약속했다. 삼성전자 노조는 협력사의 노조 설립도 지원할 계획이다.
또 ▲ 급여와 성과급 등의 산정 근거와 기준을 명확히 밝혀 따질 것 ▲ 고과와 승진이 회사의 '무기'로 쓰이는 것을 막을 것 ▲ 노동자를 '헌신짝' 취급하는 퇴사 권고를 막을 것 ▲ 소통과 설득 없이 일방적으로 강요하는 사내 문화를 바꿀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식 출범한 삼성전자 노조는 일단 소수로 출발합니다. 노조는 조합원 수를 늘리기 위해 오는 18일 삼성전자 전 사업장에서 동시다발 선전전을 하는 등 조직화에 나섭니다. 조합원 수가 일정 규모에 달하면 사측에 정식으로 교섭을 요구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