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박경보 기자ㅣ광주형 일자리 불참을 선언했던 한국노총이 복귀한 가운데, 당사자인 현대차 노조는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날렸습니다. 일자리 창출만을 바라보고 억지로 생산을 늘리면 자동차산업의 공멸로 이어진다는 주장인데요. 노조는 사측에 광주형 일자리 불참을 요구하는 한편, 강도 높은 투쟁을 예고했습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자동차지부는 12일 성명서를 내고 “실패할 수밖에 없는 광주형 일자리를 포기하라”고 촉구했습니다. 광주형 일자리 추진단에 노동계 대표로 나섰던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는 지난달 2일 불참을 선언했다가 27일 만에 복귀했는데요. 현대차 노조가 이에 대해 불편한 기색을 드러낸 셈입니다.
현대차 노조는 광주형 일자리가 추진되기 시작한 지난 2018년부터 꾸준히 반대 의사를 밝혀왔습니다. 광주형 일자리는 뚜렷하게 줄어드는 시장 수요를 무시한 정치적 결정이라는 입장인데요. 한국지엠 군산공장이 이미 문을 닫았는데도 광주시가 일자리 창출을 위해 무리하게 10만대 규모의 자동차 공장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이에 대해 노조는 “국내 경차 시장은 연간 12만대 수준에 불과한데도 광주형 일자리에서 10만대의 경형 SUV가 추가로 생산된다”며 “경차 시장 공급 과잉이 불러올 후폭풍을 면밀히 검토하지 않은 광주형 일자리는 반드시 중단돼야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광주형 일자리에서 경형SUV가 생산되면 경차 스파크를 생산하는 한국지엠 창원공장, 소형SUV 티볼리를 생산하는 평택공장, 모닝을 위탁 생산하는 서산공장 등이 직접적인 타격을 받게 되는데요. 광주라는 한정된 지역에서 일자리 창출에 집착하다가 거꾸로 다른 지역의 일자리가 위협받는 셈입니다.
광주형 일자리에 대한 문제는 현대차 노조 뿐만 아니라 전문가들도 꾸준히 언급해 왔습니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광주형 일자리에서 10만대나 생산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고, 물량을 모두 채우더라도 수익을 낼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이 연구위원은 “벤치마킹 대상이 된 독일의 아우토5000이나 미국의 이중임금제 같은 이름이 아닌 ‘광주형 일자리’라고 불리는 것은 광주시의 분명한 지역이기주의”라며 “일자리와 자동차 산업을 생각한다면 생산공장 증설이 아니라 전기차 등 미래차 산업과 부품소재산업 육성에 집중해야할 때”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따라 현대차 노조는 사측에 광주형 일자리에 대한 투자를 중단하라고 압박했는데요. 코로나19로 현대차의 해외공장들이 잇따라 문을 닫고 신용평가사들도 유동성 위기를 지적하는 상황에서 생산설비 증설에 대한 투자는 말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입니다.
노조는 “광주형 일자리는 결코 성공할 수 없는 만큼 회사는 더 큰 피해를 입기 전에 발을 빼야한다”며 “사측이 광주형 일자리에 대한 지분 투자를 강행할 경우 올해 임금 및 단체교섭과 연계해 총력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