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유은실 기자ㅣ정부가 증권사와 보험사의 외화자금 조달 상황을 한 달에 한 번씩 들여다봅니다. 건전성 정책의 사각지대였던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외화 유동성 리스크를 점검하겠다는 취지입니다.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등은 20일 ‘외화 유동성 관리제도 및 공급체계 개선안’을 발표했습니다.
◆ 모니터링 지표·스트레스 테스트 적용..“외화자산 리스크 관리”
정부는 비은행권 금융회사의 외화 조달 상황을 점검하기 위한 모니터링 지표 3종을 새로 도입합니다. 3종 모니터링 지표는 ▲외화자금 조달-소요 지표 ▲외화자산-부채 갭 지표 ▲외화조달-운용 만기 지표를 의미합니다.
비은행권의 외화 자산과 부채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관련 리스크가 늘어나자 정부가 이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번 조치로 비은행권이 고객에게 원화를 받고 ‘스왑시장’에서 달러화를 빌려 해외투자를 확대하는 것에 제동이 걸릴 전망입니다.
실제로 지난해 3월 국내 증권가를 중심으로 단기 달러 수요가 급증하면서 기업어음(CP) 금리가 급등하는 등 시장 불안이 촉발된 전례가 있습니다. 코로나19 여파로 국내 증권사들이 발행한 해외 주가연계증권(ELS)의 기초지수가 폭락, 대규모 마진콜(추가 증거금 요구)가 발생한 겁니다.
이런 상황이 재발하지 않도록 외화자금 조달·소요 지표를 통해 향후 30일간 외화자금 조달 계획을 월 단위로 점검합니다. 점검 시에는 자산가치 급락이나 외화 차입 조기 상환 요구 등 우발적인 상황에서 예상되는 수요까지 반영할 방침입니다.
김성욱 기재부 국제금융국장은 "보험사나 증권사들이 보유한 외화자산 중 스왑시장에서 조달한 비중은 얼마나 되는지, 스왑시장에서 조달한 외화와 해외 운용 자산 간의 운용 만기에는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 등을 파악해 해외투자 관련 외화 조달 리스크를 계속 모니터링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외화유동성 스트레스 테스트(잠재적 취약성 평가) 적용 대상도 증권·보험사 등으로 확대하고 매 분기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증권사의 경우 파생상품의 기초자산이 되는 글로벌 증시가 -20∼-40%까지 급락하는 상황을 가정해 점검하게 됩니다.
◆ 금융지주사 ‘자체 위험관리 기준’ 수립한다
정부는 금융회사의 위험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금융그룹 단위 관리체계를 도입합니다. 또 금감원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각 금융사가 위험상황 평가기준과 대응계획 등이 포함된 ‘자체 위험관리 기준’을 수립하도록 의무화됩니다.
외화 유동성 비율 및 외화 유동성 커버리지 비율(LCR) 등 비은행권 외화 건전성 규제 정비에도 나섭니다. 특히 증권사의 경우 해외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결합증권 자체 헤지 규모의 20% 이상을 외화 유동자산으로 의무 보유하도록 합니다.
위기 시에는 한국증권금융 등을 통해 증권사에 외화 유동성을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할 예정입니다. 이외에도 기재부 차관이 주재하는 외환건전성협의회를 신설해 분기에 1번 개최하고 기관 간 정보를 공유하는 방안이 추진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