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안정호 기자ㅣCJ대한통운이 폐플라스틱을 업사이클링한 ‘ECO+ 유니폼’을 현장에 도입해 ESG경영 실천을 위한 친환경 물류 현장 조성에 나서겠다고 합니다.
CJ대한통운(대표 강신호)은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을 통해 제작한 친환경 ‘ECO+ 유니폼’ 2000벌을 현장 직원 대상으로 배포한다고 7일 밝혔습니다. ‘ECO+ 유니폼’은 생수 및 음료 등의 용기로 쓰이는 500ml 폐페트병을 재활용한 원사로 제작된 업사이클링 의류로 민간 기업에서 업사이클링 의류를 실제 현장 유니폼으로 상용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ECO+ 유니폼’ 1벌에 들어가는 폐페트병은 약 14개로 이번에 보급하는 유니폼 2000벌에는 폐페트병 총 2만8000개가 재활용됐습니다. 페트병 1개를 처분할 때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은 약 60g으로 2만8000개의 폐페트병이 CJ대한통운 ‘ECO+ 유니폼’ 2,000벌로 재탄생되며 이산화탄소 1680kg을 감축하는 효과를 거둔 셈입니다. 이산화탄소 1680kg은 소나무 560그루가 1년 간 흡수하는 양과 동일합니다.
‘ECO+ 유니폼’은 탄소 저감 효과뿐 아니라 현장 의견을 반영한 디자인까지 적용해 실용성을 더했습니다. 현장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조끼 디자인에 봄가을에도 입을 수 있도록 안감을 추가했으며 사용편의성을 고려해 지퍼 형태의 주머니와 펜꽂이를 추가하는 등 수납 기능을 강화했습니다.
유니폼 앞면에는 ‘어린이 교통안전 캠페인’을 상징하는 안전지킴이 인증 마크와 ‘UN SDGs 협회’ 마크를 담아 ‘환경과 안전을 지키는 딜리버리’ 이미지를 표현했습니다. UN SDGs 협회는 유엔경제사회이사회 특별협의지위기구로 유엔과 글로벌 ESG 주요 기구들에 지속가능개발목표(SDGs)-ESG 확산기관으로 지정돼 있습니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량이 급증하며 플라스틱 폐기물로 인한 환경 문제가 가속화되고 있다”며 “향후 유니폼 뿐 아니라 현장에 필요한 제품들을 플라스틱 업사이클링을 통해 제작해 녹색물류를 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CJ대한통운은 지난해 11월 택배 업계 최초로 실제 배송 현장에 1톤 화물차를 투입했으며 2030년까지 모든 차량을 친환경 전기화물차로 교체할 예정입니다. 이달 말에는 플라스틱 업사이클링으로 제작한 재생파렛트를 현장에 보급하며 친환경 물류 환경 조성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실천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