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최연재 기자ㅣ삼성이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퍼스트 무버’로 전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의 가로 혹은 세로축을 중심으로 접는 방식에서 두 번 접는 디스플레이와 돌돌 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을 대거 공개했습니다.
IT업계 등에 따르면 美 현지시각 17일부터 오는 21일까지 총 5일 동안 삼성디스플레이(대표 최주선)와 LG디스플레이(대표 정호영)가 미국에서 열리는 국제 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 2021 전시회에 참가합니다. 이날 현지 IT 전문지는 삼성이 새롭게 선보인 최신 디스플레이 기술에 일제히 주목했습니다.
SID 2021은 관련 기업과 학계가 참여하는 업계 최대 규모의 디스플레이 행사입니다. 올해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온라인으로 치러지고 있습니다. 이날 삼성은 ‘S폴더블’, ‘슬라이더블’, ‘언더디스플레이 카메라 (UPC, Under Panel Camera)’ 등 차세대 OLED 기술을 영상으로 공개했습니다.
우선, ‘S폴더블’은 안과 밖으로 두 번 접을 수 있는 멀티 폴더블 제품입니다. 화면을 최대로 펼쳤을 때 크기는 7.2형으로 두 번 접으면 스마트폰처럼, 또 완전히 펼치면 태블릿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7형 폴더블은 4:3 비율로 접었을 때는 태블릿으로, 펼쳤을 때는 모니터 수준의 대화면을 제공하는 제품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휴대성을 높이면서 PC 모니터 대화면을 즐길 수 있는 차별화 된 제품”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슬라이더블’은 기존 스마트폰의 형태를 유지하되, 가로 방향으로 화면을 확장해 대화면의 이점을 누릴 수 있는 제품인데요. 평소에는 스마트폰 크기로 간편하게 사용하고, 화면 확장시 멀티 태스킹은 물론 대화면으로 영상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UPC’는 기존 전자기기의 베젤에 있던 전면 카메라를 패널 아래에 장착해 베젤을 최소화하고 화면을 극대화하는 풀스크린 기술입니다. 해당 기술로 카메라 모듈이 위치한 패널 부분의 투과율을 높여 카메라 기능을 확보했습니다.
IT 전문매체인 엔가젯은 “삼성이 폴더블 폰 분야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며 “삼성이 새로 출시한 ‘S폴더블(두번 접이식)’, ‘슬라이더블(밀어 열고 닫히는 방식)’ 등을 공개하며 미래형 기술을 선보였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어 매체는 애플이 폴더블 분야에 눈독 들이고 있는 상황에서 삼성이 기술적으로 앞서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IT매체는 삼성디스플레이는 LCD와 OLED 디스플레이 생산과 판매 전문 기업이라고 소개했는데요. 매체 버지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선보인 ‘폴더블’과 ‘슬라이딩’ 방식은 패널 분야에서 새로운 개념을 보여준 획기적인 기술”이라고 평가하며 “일찍부터 폴더블 사업 분야에 진출한 기업”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매체는 삼성을 필두로 향후 더 많은 폴더블 패널 기업이 생길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한편, 삼성전자는 오는 8월 폴더블폰 세 번째 버전인 ‘갤럭시Z폴드3’와 ‘갤럭시Z플립3’ 내놓습니다. 이번 갤폴드3는 ‘언더디스플레이 카메라’ 기능이 탑재될 예정인데요. 전작의 경우 우측 상단에 카메라 부분이 노치 혹은 홀이 있었는데, 이번 갤럭시Z폴드3는 카메라를 숨길 수 있어 완전한 풀스크린을 구현합니다.

갤럭시노트의 상징인 ‘S펜’도 적용될 전망입니다. 삼성전자는 S펜 적용을 위해 폴더블용 초박형 유리의 내구성을 개선하고, 화면 손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하이브리드형 S펜’을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갤럭시Z플립 역시 전면 디스플레이가 전작보다 두 배 이상 커졌습니다.
앞서 삼성전자는 올 하반기 폴더블폰의 대세화, 대중화를 적극 추진하겠다는 전략입니다. 1분기 컨콜에서 삼성전자는 “Z폴드는 대화면과 엔터테인먼트 경험, 생산성 등을 바탕으로 프리미엄 라인으로 만들고, Z플립은 스타일리시한 디자인과 사용성 개선으로 밀레니얼과 여성 고객 니즈를 충족시키고자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IT전문매체 슬래시기어는 “삼성이 주도하는 폴드와 플립 에디션은 만약 폴더블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았다면 전혀 알 수 없었을 새로운 편의성과 멀티태스킹 경험을 제공한다”면서 “화웨이와 샤오미 같은 일부 폴더블 스마트폰 경쟁사가 있지만, 시장은 여전히 삼성의 폴더블 폰에 더 호의적”이라고 진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