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Food 식품

“온라인서 추리하고 현장에서 금고 연다”…이색 체험 가능한 햇반컵반 스토어

URL복사

Saturday, June 12, 2021, 12:06:00

CJ제일제당, 햇반컵반BIG 출시 기념 ‘명탐정컵반즈’ 팝업스토어 오픈
추리게임 콘셉트..MZ세대 직접 참여·경험 통해 ‘세계관’ 즐거움 전달
‘치킨마요’ 오리지널 vs BIG 비교 시식..30% 이상 ↑ 소스 양은 ‘글쎄’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벽돌 건물 4층에 위치한 탐정소. 붉게 비추는 조명. 그 아래 어지럽게 나열된 알파벳. 의미를 알 수 없는 숫자와 도형들. 내게 주어진 15분 안에 법칙을 찾아내고 모든 상식을 동원해 문제를 풀어내야 한다. 단서를 해결해야 금고를 열 수 있다”

 

무엇에 대한 설명일까요. 대부분은 짧은 시간 안에 주어진 힌트를 조합해 문제를 풀어야 하는 ‘방탈출 카페’의 모습을 떠올릴 겁니다. 하지만 방탈출 카페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는 게 아닙니다. 이곳은 CJ제일제당이 오픈한 ‘명탐정 컵반즈’ 햇반컵반 스토어입니다.

 

CJ제일제당은 지난 7일 소셜 추리게임 ‘명탐정 컵반즈’에 참여할 수 있는 오프라인 팝업스토어를 열었습니다. 추리게임을 소재로 한 유튜브 콘텐츠 ‘명탐정 컵반즈’를 온라인에서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에서도 경험해보고 직접 탐정이 되어볼 수 있도록 기획된 브랜드 캠페인입니다.

 

‘명탐정 컵반즈’는 CJ제일제당이 지난달 밥·토핑·소스의 양을 30% 늘린 ‘햇반컵반BIG’을 출시하며 선보인 콘텐츠인데요. ‘탐정 나문희’와 함께 추리 미션을 풀어 나가는 내용입니다. 퀴즈를 풀고 금고를 열기 위해 ‘명탐정 사무소’를 직접 방문해봤습니다.


◇ 추리게임 콘셉트..‘온·오프라인 통합 세계관’으로 MZ세대에 이색 경험 제공

 

‘컵반즈 문희 탐정 사무소’는 서울시 성수동 골목길에 위치해 있습니다. 신제품 홍보가 목적인 팝업스토어라고 하기엔 다소 외곽에 자리잡았는데요. 자세히 보니 붉은 벽돌, 낡아보이는 건물 외관, 조용한 주변 모습이 실제 ‘탐정 사무소’ 느낌을 물씬 풍겼습니다.

 

엘리베이터 없는 건물 4층에 오르니 붉은 조명의 탐정 사무소가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팝업스토어는 크게 ▲포토존 ▲코스튬존 ▲퀴즈존 ▲금고존 ▲햇반컵반 브랜드존으로 구성돼 있으며 각 테마와 관련해 총 3개의 이벤트가 준비돼 있습니다. 하나씩 천천히 둘러볼까요.

 

포토존은 유튜브 영상의 추리 현장을 오프라인에 그대로 재현했습니다. 바로 옆 코스튬존에서는 탐정 코트·빵모자·돋보기·안경 등 탐정 소품을 직접 착장해 볼 수 있는데요. 탐정 사무소를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한 뒤 본인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게시물을 업로드하면 ‘언제나 가장 맛있는 햇반’ 3종 세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퀴즈 이벤트도 있습니다. 15분 안에 자료실에 있는 3가지 문제를 풀고 정답을 인포 데스크에 제출하면 됩니다. 퀴즈 정답 개수에 따라 햇반컵반BIG을 1개부터 3개 증정합니다. 세 문제를 모두 맞추면 ‘한정판 탐정수사 KIT 굿즈(각종 문구류)’를 추가로 제공합니다.

 

 

실제 문제를 풀어보니 난이도가 크게 높지 않았습니다. 다만 제한시간이 주는 압박감 속에서 알쏭달쏭한 문제들을 풀어야 한다는 점에서 방탈출 게임과 비슷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퀴즈존에서는 직원이 문제 풀이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부담감을 느낄 필요는 없습니다.

 

금고존은 유튜브 영상을 보고 단서를 획득한 사람만 열 수 있습니다. CJ THE MARKET 홈페이지에서 다섯 개의 힌트 영상을 본 후 비밀번호 8자리를 입력하면 되는데요. 총 세 번의 기회가 주어지며, 정답을 맞춘 참여자 중 50명을 선정해 순금으로 만든 ‘명탐정 컵반즈’ 명함에 본인 이름을 새겨 전달할 예정입니다. 

 

기자는 아쉽게도 금고를 열지 못했습니다. 그래도 추리를 통해 문제를 풀면서 잠시나마 탐정이 된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었는데요. 금고를 열든 열지 못하든, 긴장감과 재미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이색적인 공간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명탐정 컵반즈’ 이벤트에서 눈에 띄는 점은 메인 캐릭터가 원로 배우 나문희라는 점입니다. 팝업스토어 현장 직원은 “배우 나문희는 MZ소비자에게 ‘밈’으로 친숙하기 때문에 ‘컵반즈 문희’라는 캐릭터로 햇반컵반 세계관의 즐거움을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햇반컵반 팝업스토어를 방문한 시민들은 호기심 가득한 눈으로 현장을 즐기는 모습이었습니다. “이렇게 세계관에 진심인 줄 몰랐다”는 얘기도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었습니다. 한 20대 여성 일행은 “유튜브에서 영상을 보고 친구랑 왔다”며 “가볍게 즐기기 좋은 것 같고 인스타그램에 사진 올리기 좋은 곳”이라고 말했습니다.

 

 

방문객들의 추리 성공률은 어느 정도일까요. 현장 직원은 “금고 오픈은 절반 정도, 그 밖에 미션은 90% 이상의 성공률을 보이고 있다”며 “햇반컵반 팝업스토어는 6월 27일까지 휴관없이 운영되며 성공한 분들에게는 다양한 경품을 제공하고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전했습니다.

 

방역 수칙 준수를 위해 1일 2회 약 1시간에 걸쳐 업체 방역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 1개팀 체험 종료(퇴장) 직후 방역 소독기를 통해 공간 전체를 소독 및 환기하고 있습니다. 안전하고 쾌적한 이용을 위해 한 팀 기준 최대 4명이 15분간 이용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다른 식품 관련 팝업스토어에서는 접하기 어려운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체적인 만족도는 높았습니다. 다만 사전 예약을 할 수 없고 현장 예약만 가능한 점은 아쉬웠는데요. 또 코스튬존에서 착용 가능한 의상이 좀 더 다양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현장 매니저는 “이번 캠페인의 가장 큰 특징은 온라인의 추리게임 경험을 오프라인에 구현해 온·오프라인 통합 세계관을 구축했다는 것”이라며 “MZ소비자는 일방적인 내용 전달이 아니라 직접 참여하고 경험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점을 고려해 그들이 세계관에 빠져들어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기획했다”고 말했습니다.


◇ ‘치킨마요’ 오리지널 vs BIG 비교 시식..30% 이상 ↑ OK, 소스 양은 ‘글쎄’

 

 

CJ제일제당은 햇반컵반BIG을 출시하며 설명 그대로 기존 제품보다 밥·소스·토핑 전체 중량을 30% 늘렸습니다. 이번에 출시된 신제품은 스팸마요 덮밥·치킨마요 덮밥·스팸김치 덮밥 등 3종입니다. 

 

CJ제일제당이 자체 진행한 ‘햇반컵반 빅데이터 통합 분석’ 결과, MZ세대는 대용량과 덮밥류 메뉴에 대한 니즈가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존 제품과 BIG 제품 간에 어떤 차이가 있을지 알아보기 위해 가장 친숙한 치킨마요를 골라 기존의 ‘치킨마요 덮밥’과 신제품 ‘BIG 치킨마요 덮밥’을 비교 시식해봤습니다. 

 

‘BIG 치킨마요 덮밥’의 구성품은 햇반·치킨&계란·김과 깨·마요네즈·스푼으로 기존 제품과 동일했지만 무엇보다 가장 큰 변화는 밥이었는데요. 햇반 양이 150g에서 210g으로 늘어났습니다. 

 

치킨&계란은 69g에서 85.9g으로 약 17g 증가했습니다. 닭고기 알갱이가 눈에 띌 만큼 기존 제품보다 많아졌고 색깔은 더욱 진해졌습니다. 마요네즈는 2g, 김과 깨는 1g 늘어나는 등 큰 변화가 없었습니다.

 

 

두 제품을 같이 놓고 보니 ‘BIG 치킨마요 덮밥’의 양이 전체적으로 넉넉해진 게 확실히 보였습니다. 내용물을 모두 섞은 뒤 무게를 비교해봤는데요. ‘치킨마요 덮밥’은 247g, ‘BIG 치킨마요 덮밥’은 335g이 나왔습니다(컵 무게 포함). 치킨마요 덮밥 기준으로 BIG 버전이 약 36% 증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기존의 CJ 햇반컵반은 1개만 먹으면 식사로는 항상 양이 아쉬워 다른 무언가를 추가로 찾곤 했었는데요. 이번에 출시된 BIG 사이즈에서는 이전 제품보다 포만감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다만 밥과 치킨&계란 양에 비해 마요네즈 양이 모자란 느낌을 받았습니다. 모든 부분이 균일하게 섞이지 않아 뒤로 갈수록 촉촉함을 느끼기 어려운 점이 아쉬웠습니다. 늘어난 밥과 닭고기 등을 충분히 버무려 줄 수 있도록 소스가 넉넉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장승윤 기자 weightman@inthenews.co.kr

배너

미국 신용등급 강등에 증시 ‘휘청’…증권가 "충격파 크지 않을 것"

미국 신용등급 강등에 증시 ‘휘청’…증권가 "충격파 크지 않을 것"

2025.05.19 20:50:58

인더뉴스 최이레 기자ㅣ미국의 신용등급 강등 충격이 국내 증시에도 파장을 미치고 있습니다. 개장 초반부터 코스피와 코스닥 등 주요 지수가 일제히 하락하며 투자심리가 위축됐습니다. 다만 증권가에서는 이번 조정이 단기적인 현상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신용등급 강등의 원인인 미국 정부의 재정건전성 악화가 주식시장 펀더멘털(기초체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크지 않다는 분석입니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89%(23.45포인트) 내린 2603.42에 마감했습니다. 코스닥지수도 1.56%(11.32포인트) 하락한 713.75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무디스(Moody’s)의 미국 신용등급 하향 조정이 양대 지수에 하락 압력을 가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글로벌 3대 신용평가사 중 하나인 무디스는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정부의 재정 적자와 부채가 급증했다는 이유로 국가신용등급을 기존 최고 등급인 'Aaa'에서 'Aa1(AA+)'으로 한 단계 낮췄습니다. 미국 국가부채는 이달 17일 기준 약 36조2000억 달러로 우리 돈 5경원을 넘어섰습니다. 특히 전년동기 대비 1조6000억 달러(한화 약 2227조5200억원)나 늘면서 미국 역사상 최고 수준까지 치솟았습니다. 이 같은 소식에 투자심리는 급격히 얼어붙었지만 증권가는 그 충격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미 예고된 이벤트였던 데다 과거 사례에 비춰보면 낙폭도 제한적일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무디스는 이미 2023년 1월 미국의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하며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습니다. 여기에 동일 이벤트마다 관찰되는 낙폭도 점차 축소되고 있습니다. 무디스에 앞서 등급을 하향 조정한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지난 2011년 8월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가 처음으로 등급을 내린 당시 코스피는 3.82% 하락했고 피치가 하향 조정했던 2023년 8월에는 1.9% 떨어졌습니다. 김성환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무디스 조치는 후행적인 조치로 그동안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평가해 온 점을 감안하면 2011년처럼 주식시장에 충격타를 던지는 이벤트는 아니라고 판단한다"며 "이미 지난 14년 동안 금융시장이 소화했었던 이벤트로 이전 사례들보다 낙폭은 낮아질 공산이 크다"고 평가했습니다. 더불어 미국 정부의 재정건전성 악화가 주식시장 펀더멘털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을 뿐 더러 글로벌 경제가 직면한 미국발 관세 리스크가 조기에 해소될 수 있는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김성근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이번 이슈로 미국의 리세션(경기침체) 확률이 상승하고 장기금리가 획기적으로 오르지 않는 이상 주식시장 펀더멘털이 변했다고 평가하기 어렵다"며 "지난 4월 미국 달러 자산에 대한 동시 매도 흐름이 나타나자 상호 관세 유예 조치를 발표했는데 이번 이슈로 한국, 일본, 인도, 유럽연합(EU)과 무역 합의를 더 서두르려고 할 수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 "2011년과 2023년 당시 S&P500 흐름을 참고해 보면 이번 등급 하향으로 주식시장은 단기 변동성에 노출될 수 있지만 향후 경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일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에 따라 이번 조정으로 위험자산에 대해 과도한 경계심리를 가질 필요가 없다는 견해도 일각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결국 신용등급 강등은 증시에 조정을 유발할 수는 있겠지만 최근 관세 협상 기대로 빠르게 주가가 반등하는 과정에서 누적된 단기 차익실현 재료에 국한될 것"이라며 "주식 포지션 축소로 대응하는 것은 지양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