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엄수빈 기자ㅣ하나금융투자는 23일 DGB금융에 대해 2분기 호실적을 예상한다며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만2500원을 유지했다.
최정욱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DGB금융의 2분기 추정 순익은 전년동기대비 31.2% 증가한 1270억원으
로 시장 전망치를 크게 상회할 것”이라며 “이는 매년 연말에 발생하는 명예퇴직비용 중 일부인 100억원까지 선반영된 수치이며, 올해 추정 순익은 약 3950억원에 육박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최 연구원은 2분기 대출성장률이 3.0%로 은행 중 가장 높아 고성장이 지속되고 NIM(순이자마진)이 2bp(1bp=0.01%p) 추가 상승하면서 이자이익이 전년동기대비 9%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봤다. 또 PF(프로젝트파이낸싱)대출 증가와 하이투자증권 실적 호조로 비이자이익도 상당폭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최 연구원은 “그룹 대손비용이 370억원 내외로 낮아지면서 총자산대비 대손비용률이 약 0.18%로 시중은행 수준까지 하락하는 점도 호실적에 크게 기여한다”며 “이처럼 낮은 대손비용에는 70억원 내외의 일회성 충당금 환입 요인이 있기는 하지만, 상각 관련 추가 충당금 등까지 감안시 건전성 개선 추세 본격화로 경상 대손비용이 낮아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2분기에도 가계대출이 3% 이상 증가하면서 대출포트폴리오 변화 노력 지속 중이라며, 높은 성장률에도 불구하고 자본비율 하락 폭은 10bp 내외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대구은행은 기업대출 중 변동금리대출 비중이 95.4%에 달하고 이 중 90% 가량이 3개월과 12개월 국채와 은행채 금리에 연동돼 있다는 점에서 단기금리 상승에 NIM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크다는 설명이다.
그는 “올해 20% 가량의 증익이 예상되고 배당성향도 최소 22%대로 상향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올해 추정 DPS(주당배당금)는 520원으로 전년대비 33.3% 증가를 예상한다”며 “기대배당수익률은 5.8%로 은행 평균인 5.4%를 상회해 배당매력도 양호해 비중확대 전략을 권고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