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최근 국내 기업의 수출실적이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수출기업 10곳 중 8곳은 ‘글로벌 경쟁 격화’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곳 중 5~6곳은 마진율 감소와 시장점유율 하락을 겪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 기저효과와 반도체 경기 호조에 가려진 대다수 수출 기업들의 경쟁격화, 시장점유율 하락, 마진율 감소의 ‘3중고’를 직시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11일 국내 수출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글로벌 경쟁상황 변화와 우리 기업의 대응실태’를 조사한 결과, 해외 경쟁가도가 ‘격화 추세’라고 응답한 기업이 79.3%에 달했습니다. 반대로 ‘약화 추세’라고 답변한 기업은 15.3%에 그쳤습니다.
◇ 경쟁기업 증가·시장성장세 둔화 등으로 경쟁 격화..경쟁상대는 중국기업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이 격화되는 요인으로 ‘경쟁기업의 증가’(61.3%)를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이어 ‘시장성장세 둔화’가 46.4%, ‘기술혁신 가속화’가 34.7%였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주로 경쟁하는 기업이 속한 국가로는 ‘중국42.3%)’, 미국(26%)‘, ‘일본(20.3%)’, ‘EU(18.3%)’ 순으로 나왔는데요. 이밖에 ‘베트남(9.7%)’을 지목한 기업도 일부 있었고, 국내 기업을 경쟁사로 보는 의견도 35%(복수응답)에 달했습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수출호조에도 이처럼 글로벌 경쟁격화의 의견이 많이 나온 것은 포스트 코로나로 점차 본격화되는 국제경쟁에 대한 경계심과 우려때문으로 보인다”면서 “특히 반도체, 배터리 등 글로벌 공급망 재편, 주요국의 신산업 선점경쟁이 가속화되고, ESG경영, 양적완화 축소, 탄소세 부과 등 새로운 도전과 미래 불확실성이 누적되는 것도 작용하는 듯하다”고 분석했습니다.
◇ 기업 10곳 중 절반 이상 마진율 감소·시장점유율 하락 경험
글로벌 경쟁이 격화로 가격인상이 어려워지면서 마진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조사 응답기업 중 최근 ‘마진율 감소’를 경험하는 기업은 64%이며, ‘시장점유율 하락’을 호소하는 기업도 43.8%에 육박했습니다.
기계장치를 제조하는 A사는 “원가가 오른 만큼 수출가격에 반영하려고 해도 해외 발주처에서 거부감이 크고 수용에도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며 “원가 상승이 가격에 반영되는 정도는 잘해야 30% 수준에 그친다”고 토로했습니다.
전자부품을 수출하는 B사는 “주력제품의 수요처가 몇 군데로 정해져 있고, 가격경쟁이 치열한 분야라 원가인상을 전가하기 쉽지 않다”며 “지금처럼 원자재가격이 급격히 뛰면 다른 경비를 줄여야 수지를 맞출 수 있어 여유가 없어진다”고 말했습니다.
수출기업들은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 확보를 위해선 ‘기업간 및 부문간 협업네트워크 구축(35.3%)’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이어 ‘우수인재 양성(23.7%)’, ‘통신·에너지를 비롯한 신산업인프라 확충15%)’, ‘데이터·신기술 활용 등의 혁신여건 조성(14.7%)’, ‘규제개선(11.3%)’의 순으로 꼽았습니다.
인재확보가 필요한 분야로는 ‘설계와 연구개발(35.5%)’, ‘영업마케팅(23.7%)’ ‘사업기획(14.8%)’, ‘데이터 분석(12.4%)’, ‘공급망 관리(4.7%)’의 차례였고, ‘설계와 연구개발’ 분야 중에서 ‘소프트웨어 개발(20.1%)’이 인력수요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최규종 대한상의 기업정책팀장은 “디지털화·친환경 등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인데 경쟁격화와 마진감소, 신제품출시 등으로 기업의 연구개발과 미래투자에 대한 부담이 크다”며 “차세대 통신·데이터·에너지 인프라투자 확대, 대규모 투자자금 유치가 가능하도록 펀딩관련 규제완화 등 정책적 지원이 요청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