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수민 기자ㅣSKT와 JTBC스튜디오가 사회적 약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K-콘텐츠를 해외로 확산시키기 위해 손잡았습니다. 청각 장애인들의 시청권 향상과 K-콘텐츠 해외 보급에 기여할 전망입니다.
SKT는 JTBC스튜디오와 ‘실시간 AI 자동 자막서비스’ 기술 개발 협약을 체결, 청각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해 자막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기술을 개발한다고 27일 밝혔습니다.
해당 기술은 영화나 드라마의 대사가 배경음악 등에 묻혀 정확히 들리지 않는다는 시청자 불만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해외 시청자들을 위한 한국어 서비스 제공 효과도 있어 K-콘텐츠의 해외 확산에 기여할 전망입니다.
방송 콘텐츠의 경우, 목소리 인식을 방해하는 사투리·배경음악·생활잡음 등이 자막 추출 정확도를 낮추기 때문에 이에 특화된 AI 음성인식 및 잡음제거 기술이 필요합니다.
현재 방송사들은 사람이 직접 영상 콘텐츠의 대화를 듣고 자막화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4~5초 정도의 지연시간으로 일부 대화가 누락돼 시청하기 어렵다는 불만이 제기돼 왔습니다.
자막 생성 기술로는 구글 음성 인식기가 대표적이지만 잡음이 방송에 바로 투입되기 어려워 추가 개발이 필요한 실정입니다.
SKT는 올해 상반기 개발한 AI 잡음 제거 기술을 활용, 지난 6월 ‘SK텔레콤 오픈 골프대회’에서 잡음을 제거해 경기 중 선수-캐디 간의 대화 및 선수 인터뷰 등을 포함시켜 호응을 받았습니다.
이번 협약에서는 JTBC스튜디오가 AI 딥러닝을 위한 영상 콘텐츠와 방송기술 컨설팅을 제공하고 SK텔레콤은 음성인식 및 자막 생성 원천기술을 개발하기로 했습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실시간 자막 서비스를 다양한 미디어로 확대 적용할 예정입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최근 장애인을 위한 수어 방송의 의무화 비율을 확대했습니다. 또한 실시간방송 외에 VOD와 OTT에도 자막과 화면해설, 수어 등을 의무화하는 '미디어 포용 종합계획' 발표한 바 있습니다.
박창성 JTBC스튜디오 콘텐트사업본부 본부장은 “시청자 복지 향상을 위한 미디어기술 개발이 속도를 낼 수 있게 되어 뜻깊다”며 “협력을 통해 양사가 국내 콘텐츠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재광 SKT 미디어사업지원 그룹장은 “제휴를 통해 딥러닝 콘텐츠와 방송 기술 컨설팅을 제공받아 AI 미디어 기술 개발의 난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며 “시청자 복지와 K-콘텐츠를 통한 한류 확산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