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셀트리온(대표 기우성)은 향후 우점종(군집을 대표하는 종류)으로 발전 가능한 다양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후속 프로젝트로 ‘칵테일’ 흡입형 치료제 개발을 가속화한다고 29일 밝혔습니다.
회사는 코로나19 초기부터 항체 치료 플랫폼을 다원화하기 위해 편리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흡입형 항체치료제 개발에 매진해 왔습니다. 동시에 팬데믹 초반부터 구축해온 칵테일 후보항체 풀에서 변이 바이러스 대응력이 가장 우수한 후보항체 CT-P63을 선별해 별도의 글로벌 임상 1상도 연내 종료 예정입니다.
셀트리온은 최근 CT-P63에 대한 임상 1상 시험에서 환자 투여를 종료하고 12월 중 관련 시험 데이터를 확보한 후, 동시 개발중인 흡입형 치료제와의 결합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변이 바이러스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개발 초기부터 흡입형은 칵테일 형태로 개발한다는 복안이 서 있었다는 설명입니다.
회사 측은 특히 CT-P63은 현재 확산세가 예상되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강한 중화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최근 구조분석을 통해 바이러스 항원 결합부위가 오미크론 변이 부위와 겹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셀트리온은 확실한 중화능 확인을 위해 빠른 시일 내에 해당 항체의 슈도 바이러스 중화능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동시에 흡입형 항체치료제의 후속 임상은 CT-P63을 결합한 칵테일 흡입형으로 진행하기로 하고 규제기관과 가능성 여부를 타진할 방침입니다.
흡입형은 항체의 주요 작용기전인 스파이크 부위 항원 결합을 통한 바이러스 중화능뿐 아니라, 흡입된 항체가 호흡기 점막에 들러붙어 호흡기를 통해 유입되는 바이러스를 걸러주는 ‘트랩핑’ 기전도 함께 갖고 있다고 합니다. 즉, 항체·바이러스 결합만으로도 바이러스 무력화가 가능하다는 해석입니다.
아울러 흡입형은 정맥주입형에 비해 투약 편의성과 폐를 통한 항체 전달비율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돼 경제적 효과를 겸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공동 개발사인 미국 바이오기업 ‘인할론 바이오파마’의 특허 실시권을 바탕으로 개발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이미 델타 변이에 대한 대응능력이 확인된 렉키로나 국내외 공급에 주력하면서 새로 출현한 오미크론 등 다양한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 추세를 주시하고 있다”며 “2차 개발을 진행 중인 칵테일 흡입형의 개발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