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올해 3분기 국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기준 총자본비율이 2분기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증자를 실시한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자본비율이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금융감독원이 1일 발표한 ‘2021년 3분기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기준 자본비율 현황’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국내 은행의 총자본비율은 15.90%로 전 분기 대비 0.24%p 상승했습니다. 보통주자본비율은 13.40%, 기본자본비율은 14.55%로 각각 0.25%p, 0.26%p 올랐습니다.
총자본비율은 은행의 총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눈 값입니다. 금감원은 대출자산 등 위험가중자산이 늘어나는 와중에도 증자·순이익 시현 등으로 자본이 증가하면서 총자본비율이 상승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3분기에는 ▲카카오뱅크가 2조 5000억 원 ▲케이뱅크가 1조 2000억 원 ▲수협은행이 1000억 원 ▲우리금융이 1000억 원의 증자를 실행했습니다.

9월 말 기준 모든 은행·지주사들의 총자산비율은 규제비율보다 높았습니다. 총자본비율이 가장 높은 회사는 카카오뱅크로 34.57%를 기록했습니다. 다음으로 ▲케이뱅크(19.82%) ▲씨티은행(18.35%) ▲하나금융(16.62%) ▲신한금융(16.49%)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3분기에 증자를 한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자본비율이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카카오뱅크의 총자본비율은 전 분기 대비 14.68%p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케이뱅크도 총자본이 8.91%p 늘었습니다.
내부등급법을 승인받은 우리금융도 위험가중자산 규모가 감소해 총자본비율이 전분기 대비 1.08%p 상승한 14.83%를 기록했습니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보통주비율은 1.24%p, 기본자본비율은 1.23%p 증가했습니다.
반면 위험가중자산이 자본보다 증가한 씨티은행·SC제일은행·수출입은행·DGB금융·산업은행·JB금융·하나금융은 총자본비율이 하락했습니다.
금감원 관계자는 “9월 말 국내은행의 자본비율은 증자·순이익 시현 등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며 “연준의 테이퍼링과 글로벌 공급망 교란 등 대내외 시장 불안요인 속에서 시스템리스크 확대에 선제 대응해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하도록 건전한 자본관리를 유도하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