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올해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을 인천과 경기 등 수도권이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의 경우 지난해 급등으로 인한 가격규모가 크게 상승하며 타 지역에 비해 가격 상승폭이 적었습니다.
20일 직방이 발표한 올해 아파트 거래시장 분석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지난 11월까지 13.7%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인천과 경기가 각각 23.9%, 22.1%로 집계되며 1·2위를 차지했습니다. 뒤를 이어 제주(17.9%), 대전(14.4%), 부산(14.0%)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은 상승률 7.8%로 조사됐습니다.

올해 1~10월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량의 경우 59만 7000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만 1000건이 줄었습니다. 아파트 매매거래는 지방(34만 3000건)이 수도권(25만 4000건)보다 많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수도권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1만 5000건이 줄었습니다.
직방은 “거래량이 감소한 수도권의 경우 서울을 중심으로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정책 효과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습니다.
지난 13일을 기준으로 한 2021년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총액은 191조 3000억원으로 조사됐습니다. 지난해(289조 6000억원)와 비교했을 경우 66% 수준으로 줄었으나 역대 거래총액으로 따질 경우 2위의 기록입니다. 권역별 거래총액은 수도권 118조 6000억원, 지방 72조 7000억원 규모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아울러, 내년 도시별 아파트 입주물량은 총 26만 1386가구로 올해보다 22% 늘어난 물량이 공급됩니다. 시도별로는 경기도가 8만 4487가구로 가장 많은 물량이 공급될 예정이며, 이어 인천(4만 116가구), 부산(2만 4119가구), 대구(1만 9338가구), 서울(1만 8148가구) 순으로 공급이 계획돼 있습니다.
특히, 1만 8148세대가 예정돼 있는 서울의 경우 총 30개 단지에서 공급이 진행됩니다. 이 가운데 23개 단지는 재개발·재건축 사업 완료 단지로 송파·성북·서대문 등에서 입주가 진행될 예정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올해는 지난해 급등기의 여진이 이어지면서 매매와 전세가격의 동반 상승기조가 유지됐다”며 “가격급등으로 가격규모가 커진 서울은 정부의 정책효과가 서서히 나타나면서 상승폭이 줄어들고 거래량이 감소하는 등 지난해 가격 급등이 진정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내년 부동산 시장은 금융환경이 우호적이지 못한 상황으로 전환되는 분기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그러나 잠재적 수요가 이어지고 있어 가격의 급격한 하락이나 시장 침체가 나타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단, 금융규제 강도와 금리인상 속도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