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국내 주식시장의 모멘텀이 약해지면서 개인투자자들이 국장(국내 증시)을 떠나고 있다. 추세가 살아있는 미장(미국 증시)이나 가상자산으로 자금이 이동했다는 분석이다. 대규모 IPO도 개인 수급에 적잖이 영향을 준 모양새다.
22일 신한금융투자는 개인투자자의 올해 코스피 누적 순매수대금이 74조 원을 정점으로 하락하고 있다고 전했다. 거래소 시장에서 모든 주체 중 개인의 매매 비중은 한때 70%를 상회했고 9월까지 60%를 유지했지만 점차 우하향해 50%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최유준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개인은 주가나 거래량이 급등한 주식을 매수하는 추세추종의 형태를 보인다”며 “하반기 이후 국내 증시 동력이 약화돼 추세가 살아있던 미국 주식이나 가상자산 등으로 자금이 이동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규모 IPO가 개인 수급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올해 IPO를 통한 자금 조달 규모는 21조 원이었다. 이 중 공모 규모가 1조 원을 상회하는 소위 ‘대어’가 60%가 넘었다. 내년에도 ‘대어’를 중심으로 IPO 규모가 30조 원을 넘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신한금융투자는 신규 상장 종목은 할인 발행되는 경향이 있어 비교적 이익 확보가 용이하다는 인식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요인이 개인투자자의 이목을 끈다고 덧붙였다.
최 연구원은 “대규모 IPO 전후로 증시자금 유출입이 크게 나타나고 내년에도 이런 패턴이 반복될 가능성이 있다”며 “개인의 매매 형태는 결국 하단을 지지하는 성격을 가질 것이며 개별 업종 모멘텀 강도에 따라 상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말이 되면 고정적으로 나오는 개인 양도세 관련 매물에 대해서는 영향이 크지 않다고 분석했다.
최 연구원은 “연초 이후 개인의 순매수 규모는 코스피, 코스닥 합산 81조 원이지만 평균 순매수 단가로 추정한 수익률이 0%를 하회하기 때문에 양도세 관련 매물 압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이 중 대형주가 80%에 달해 최근 시세가 좋았던 중소형주를 중심으로 매물이 제한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