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포스코케미칼이 음극재 생산과정의 탄소배출량 등 환경영향 공식 인증을 통해 친환경경영 성과를 인정받았습니다.
포스코케미칼(대표 민경준)은 환경부로부터 배터리 핵심소재인 천연흑연 음극재에 대한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획득했다고 6일 밝혔습니다.
환경성적표지 인증은 제품의 원료 채굴부터 생산·사용·폐기 등 전 과정에 대한 환경영향을 계량적으로 표시해 공개하는 국가 공인 인증제도로, 고객들이 환경친화적인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지표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포스코케미칼은 배터리소재 업계 최초로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음극재의 원료 채굴부터 제조 과정까지의 탄소발자국·자원영향·물사용량·오존층 영향·산성화·부영양화·광화학스모그 등 7대 환경성적을 공개했습니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음극재 1㎏을 생산할 때 발생하는 탄소발자국은 3.24㎏ CO₂이며, 60㎾h 전기차 1대 기준으로 환산하면 약 175㎏ CO₂입니다. 탄소발자국이란 제품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CO₂ 배출량으로 환산한 지표를 말합니다.
포스코케미칼은 이번 인증으로 강화되는 글로벌 환경규제와 전기차 및 배터리 고객사의 환경경영 강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배터리 소재의 환경영향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전기차 산업의 친환경성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전기차는 주행 중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친환경 모빌리티지만, 생산 과정의 탄소배출량 등 전체 제품주기의 친환경성을 입증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이에 유럽연합이 2024년부터 배터리 탄소발자국 신고를 의무화하는 등 관련 산업의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포스코케미칼은 재생에너지의 사용 비중을 높이고 음극재 공정에서 발생하는 흑연분을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순환자원 품질표지 인증을 지난 9월 획득하는 등 친환경적인 소재 생산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습니다.
또 내년 상반기에 양극재에 대해서도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획득하고 양·음극재 생산 과정의 탄소배출량을 감축해 저탄소 제품 인증도 추진할 계획입니다.
제품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 개발도 활발히 추진 중입니다. 독자개발한 저팽창 음극재를 GM-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사 ‘얼티엄셀즈’ 생산 시점에 맞춰 공급하며, 향후 에너지밀도 증대를 통해 전기차 주행거리를 크게 늘린 실리콘 음극재 등 신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안정적인 원료 확보와 밸류체인 전반에 대한 역량도 강화합니다. 포스코가 음극재 원료인 흑연광산 지분을 인수한 데 이어 포스코케미칼이 중간원료인 구형흑연 확보를 위한 지분투자를 결정한 바 있습니다.
음극재 코팅용 피치와 인조흑연 음극재의 원료인 침상코크스를 자체 생산하고, 인조흑연 음극재 회사인 중국 시누오사의 지분을 인수하는 등 음극재 전체 밸류체인을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