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1분기 대내외환경의 요인으로 건설업종의 실적과 주가와 부진했지만 정부 주택 공급 계획이 현실화되면서 점차 모멘텀이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런 국면에서 중소형 건설사보다는 단기실적이 상향되는 대형사에 투자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분석이다.
24일 신한금융투자는 1분기 건설업종이 중대재해처벌법 강화, 원가 부담확대, 저조한 분양 등을 바탕으로 실적과 주가 모두 부진했다고 전했다. 재건축 규제 완화가 지연되면서 업종 주가는 약세를 지속하고 있지만 연말로 갈수록 실적 및 정책 모멘텀이 회복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선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하반기 건설업종의 실적과 분양, 신규수주는 1분기를 저점으로 개선될 것”이라며 “대형사들의 신규분양 실적은 2분기 이후부터 회복할 것이고 정부의 250만 세대 주택 공급 로드맵이 구체화되면서 하반기 모멘텀이 강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국면에서 단기실적이 상향되는 대형사에 대한 투자 전략이 유효하다고 조언했다.
신한금융투자는 재건축 규제 완화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높지만 업체별 연간 분양 캐파 고려 시 수혜는 대형사에 고르게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풍부해진 유동성을 기반으로 개발사업, 민간 참여형 공공주택사업 등에 참여하는 업체들 위주로 모멘텀 및 실적 성장의 수혜가 클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연구원은 “최선호주는 현대건설, 차선호주는 DL이앤씨로 선정했다”며 “중소형 건설사는 수도권 분양 비중 및 관급공사 비중이 높은 업체를 건자재 업체는 수출 비중이 높은 업체로 선별해 접근할 것을 권고한다”고 말했다.